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86세계와 한국의 과학계 희망과 좌절이 엇갈린 한 해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시절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유전공학 분야는 시련의 계절을 맞게될 것같다.한
편
86년 상반기까지 국내에 출원한 외국인의 유전공학 분야의 특허는 모두 1백85건에 이르고 있으며 85년이래 격증하는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 특허청은 지난 9월 미국 '제넨테크'사와 캘리포니아 대학이 국내에 ... ...
PART 2 한강수계 총점검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수질오염의 근본적인 방지책과 생태계의 보존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또 한
편
으로는 한강이 포용하고 있는 자원으로서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지혜를 짜내어야 할 것이다 ... ...
중공 우주사업에 적극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셔틀로 회수한 것이다.이렇게 우주 비지네스 분야에서 발판을 착착 다져나가는 한
편
으로 중공은 유인우주비행도 계획하고 있다.중공우주 기술연구원 관계자에의하면 이미 우주선의 유도제어기술,생명유지를 위한 선내 기체성분과 압력조정등 여러분야의 기술적문제를 해결했다는 것이다.또 ... ...
신소재를 사용한 하이테크 경주자동차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중량은 1백7.604kg이다. 이것을 만약 기존의 재료로 만들면 1백57.762kg이 된다니까 가벼운
편
의 운전자 1인분의 중량을 절약하게 되는 것이다.이 ‘토레이 서드 토요타 MC86X’는 국제자동차스포츠연맹(FIM)이 정하는 C그룹에 소속되어 세계스포츠프로토타이프 선수권(WSC)과 일본내 선수권에 출전한다. ... ...
'나의 목표는 과학과 정치의 접목'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조직 개
편
에 관한 연구가 고려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읍니다.”이장관은 달변인
편
이며 여러 문제에 대해 시원하게 답변해준다. 이 팔방미인이 과학·기술 한쪽에만 전념하면 더욱 좋을것이 아닐까하는 아쉬움이 있는가하면 사람은 그 능력에 맞게 여러가지 하는것도 사회적 이득이 될수 있지 ... ...
올해의 노벨과학상 8명의 과학자가 영예차지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논문을 계속 발표하고 있다. 올해 80회 생일과 금혼을 맞는 그는 “노벨상을 받게 돼 한
편
으로 놀랍기도 하고 매우 만족스럽다”며 “나는결코 이같은 발명품에 노벨상이 주어지리 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현재 전자현미경은 세계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고 자동차와 같이 평범한 물건이 되었다”고 ... ...
2-5배나 높은 오염도 실내환기 자주해야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간단히 끝내는게 현명하다.실내오염의 주된 희생자는 주부들이다. 이들은 남
편
이나 아이들보다 집안에 있는 시간이 긴데다가 세탁시에나 요리할때 또 화장할때에 유해 화학물질과 자주 접한다. 주부는 오염공기의 1차 희생자이므로 첫째는 자신의 보호를 위해, 둘째는 나머지 가족들을 생각해 ... ...
한국고분자학회회장 김점식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될겁니다. 벌써부터 준비를 하고 있지만 이 학술대회에서는 외국에서 1백
편
, 국내에서 2백
편
정도의 논문이 발표될 예정입니다.”▲마지막으로 고분자 연구의 전망을 내려주시죠.“고분자학은 아직도 규명해야 할 부분이 많은 미래과학이라고 할 수 있읍니다. 그러나 그 가능성은 무한에 ... ...
교사의 적극적 실천자세가 앞서야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미지의 세계에 대한 원초적 호기심 충족에 지대한 공헌을 해왔음이 분명하나, 한
편
으론 환경의 파괴, 전쟁무기의 질적 발달로 인한 대량 살륙의 공포, 문명에 대한 인간 소외 문제를 야기시켜 왔다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현대 과학의 발달에 대한 병폐가 큰 목소리로 지적되는 원인은 그 야누스적 ... ...
동의보감
편
찬한 의성(醫聖) 허준(許浚)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있다. 예로부터 전해지는 처방에 대해서는 모두 출전(出典)을 밝혀 더 연구할 사람의
편
의에 응하고 있다. 여기 인용된 중국의 의학서는 80종이 넘는다.의학의 대중화에 이바지이 책에 누가 ‘동의보감’이란 이름을 붙였던 것일까? 아마 허준 자신의 생각이었을 것같다. ‘동의’(東醫)란 물론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