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79만년전 불 사용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사이언스’ 에 발표했다.헤브루대 나아마 고렌-인바르 박사팀은 이스라엘 북부
지역
에서 79만년 이전 것으로 보이는 불에 탄 씨앗, 나무조각, 부싯돌 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발굴팀은 이번에 발굴한 물품 중 겨우 2% 미만이 불에 탄 것으로 보아 자연적으로 불이 났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부스를 설치하고 여기에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설치해 체험자들이 PDA로 인근
지역
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했다. 트럭은 과학을 싣고“안경을 금속수세미로 닦아도 흠집하나 나지 않아요. 바로 나노기술 때문이죠.” 시내 한복판에 천막들이 대거 등장했다면 슈투트가르트공대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사진부문 1등 얼어버린 나이테디 브레거, 컬럼비아대라몬트-도허티 지구관측소 몽고
지역
의 오래된 시베리아 소나무의 작은 조각에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포착한 나무의 나이테. 이 사진은 지구 역사의 한 장면을 담고 있다.사진의 가운데 부분 나이테를 주목해보자. 536-537년에 형성된 이 나이테는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물때를 기다려 계화도로 돌아가곤 했다.백합은 갯땅의 산물 중 단연 돋보인다. 새만금
지역
사람들은 조개류 중 전복 다음으로 백합을 꼽는다. 조선시대에는 왕실에 진상되기도 했다고 한다. 백합은 우리나라 서해와 중국에서 나는데 계화도, 전북 김제 심포에서 나는 백합이 질 좋기로 유명하다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맞닥뜨리면 저절로 빛이 나도록 했다. 이 누룩세포를 바퀴벌레 등에 붙인 뒤 특정
지역
에 침투시키면 유해물질의 존재와 위치까지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콜레라 바이러스를 맞닥뜨렸을 때 녹색으로 빛나는 누룩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벌레는 정보기술에서도 안전감시원 역을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무법자’답지 않은 상어의 박제도 볼 수 있다.한반도 갯벌의 40%를 차지하는 목포 주변
지역
의 갯벌을 그대로 살린 ‘갯벌 디오라마’에서는 댕가리가 집단으로 조개를 공격하고 문절망둥이가 펄 속에서 고개를 내민다. 계룡산과 함께 국내 최대급이다.서울에서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이 첫손에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류병재 박사는 “2000년부터 울릉 분지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탐사해 유망한
지역
을 조사했다”며 “내년부터 정밀 탐사와 시추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같은 연구소 허대기 부장도 “울릉 분지에 매장된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6억t 규모며 한국이 30년 정도 쓸 양”이라고 말했다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좁은
지역
에서 일어난 폭우의 메커니즘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었다.국지적 규모의 강수
지역
과 강수량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수치모형이 실제 대기의 움직임을 완벽하게 표현하기에 한계가 있는데다 다양한 기상관측자료로부터 최적의 기상변수를 얻는 것도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경기도를 뜻함)로 돼 있고 경상도가 ‘Tchousin’인 점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 해당
지역
의 정확한 발음이 유럽에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지도를 보면 조선의 국경이 지금까지 알려진 압록강과 두만강이 아니라 그보다 더 위쪽으로 그려져 있다. 청나라 황제 강희제는 1712년 청과 조선의 ... ...
허준, 동아시아 최초 성홍열 관찰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성홍열에 대해 매우 면밀한 관찰결과를 보고했는데 이는 성홍열에 대한 동아시아
지역
의 첫 연구”라고 밝혔다.또 신 교수는 “허준은 두창, 온역(장티푸스 질환) 등 조선시대의 전염병에 대해 연구했으며 오늘날의 홍역에 해당하는 새로운 질병을 발견해 최초의 기록을 남겼다”고 평가했다.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