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대한민국에 ‘영재들이 살아갈 현명한 길’을 제시해 주길 기대한다.[카이스트는
지난
4월 11~12일을 자살한 학생들에 대한 애도기간으로 정하고 모든 강의를 쉰 채 학과별로 교수와 학생 간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사진은 교정 잔디밭에 모여 있는 교수와 학생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쓰임새가 더 넓다. 태양전지로 만든 옷을 입고 다니는 일도 꿈은 아니다.고 교수팀은
지난
2008년 효율이 7%가 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광자 100개를 받으면 7개의 전자를 내놓는다는 뜻이다. 2010년에는 2.4m×1.4m의 대형 패널도 개발했다. 패널을 만들 경우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루는 각을 말한다. 남극에서 북극까지 일직선으로 올라가면 90°가 된다. 아리랑 2호도
지난
2월 경사각을 조정했다. 2006년 발사 직후 아리랑 2호는 98.13°의 경사각을 유지하고 있었다.하루에 몇 바퀴씩 돌면서 지구 전체를 감시할 수 있는 이유가 이 98.13°의 경사 때문이다. 그런데 이 경사각은 매년 ... ...
표준 모형도 몰랐던 새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물리학의 표준 모형도 예측 못한 새로운 기본 입자가 있을까.
지난
4월 6일 미국 페르미연구소의 물리학자들은 입자가속기를 이용해 충돌 실험을 한 결과 표준 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관측했다고 밝혔다. 표준 모형은 자연계의 기본 입자와 4가지 힘 중 중력을 뺀 나머지의 상호작용을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1911년) 수상 100주년을 기념해 선정됐다.] 한국도 1999년부터 책임보호운동 참여그러나
지난
세기 후반부터 화학에 대한 대중의 이미지는 악화일로를 밟아왔다. 특히 미군이 베트남전쟁(1960~ 1975년)에 사용한 화학무기와 고엽제가 화학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전 세계에 급속도로 확산시키는 데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보다 민감해서 100Bq/kg입니다. 과연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수돗물을 먹게 했을까요?”.
지난
3월 31일, 환경재단에서 열린 강연회에서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가 청중에게 물었다. 어른, 아이 둘 다 마시지 말아야 할까. 아니면 어른은 마시고 아이에게는 목 말라도 참으라고 해야 할까.우리는 ... ...
Inrto. 나는 가축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줄 알았던 구제역이 4월 20일 경북 영천시 도남동에 있는 돼지농장에서 다시 발생했다.
지난
구제역과 AI로 전국에서 1000만 마리에 가까운 가축이 사라졌지만 매몰 작업에 관여한 사람을 제외하곤 가축의 죽음을 직접 본 사람은 거의 없다. 가축은 1만 2000년 전부터 우리 곁에 살며 인간에게 많은 것을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아주 많이 달랐을 거라는 점이다.우리는 이제 가축 때문에 행복하지만 가축도 그럴까.
지난
겨울 한반도에 불어 닥친 구제역으로 사람과 함께 살던 소, 돼지 350만 마리가 땅에 묻혔다. 열 집 중 한 집이 자식처럼 기르던 개를 내다버린다. 우리를 선택했던 야생동물은 요즘엔 도대체 어디에서 어떻게 ... ...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UCL/Wellcome Images음악은 눈이 보이지 않는 대상과도 대화할 수 있게 해 준다. 수정 후 5일이
지난
동굴심해어(멕시코 테트라)의 배아는 눈이 있지만 시력이 없다. 그래서 몸에 난 옆줄로 진동과 움직임, 압력 변화를 느끼는데, 시력이 있는 다른 어류보다 감각수용체가 예민하다. 녹색으로 표현한 선과 ... ...
지구의 젖줄, 바다가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채 포경을 계속하는 나라가 있다. 일본은 아예 포경의 합법화를 주장하고 있다.상어 역시
지난
50년 동안 어획량이 세 배 가까이 늘었다. 일부 종은 개체수가 90% 이상 줄어들어 보호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양보호구’를 설치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현재 호주와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