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친구 따라 강남 가는' 잔가시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때먹이가 많았던 칸 대신 다른 물고기들이 찾아갔던 칸을 기억해 따라간 것이다. 켄달
박사
는 “잔가시고기는 크기가 매우 작아 커다란 천적에게 쉽게 잡혀 먹힌다”며 “다른잔가시고기들이 어떻게 먹이를 찾아다니는지 보고 따라가는 습성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잔가시고기가 천적의 눈을 피해 ... ...
오줌으로 가는 자동차 나올까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강해 분리하기 쉽지 않지만 요소를 구성하는수소원자는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보테
박사
는“오줌에서 요소만을 걸러내 수소기체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을 연구하고 있다”며 “약 6개월 뒤면 이렇게 얻은 수소기체를 직접 연소시키거나 연료전지에 활용해 실제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을 ... ...
태양 흑점 실종, 지구온난화 영향 없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태양 흑점 활동을 연구해온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 물리학자 데이비드 해서웨이
박사
또한 이러한 흑점 이상이 태양 주기 역사상 정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그렇다면 흑점 이상은 지구온난화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태양 활동이 당분간 저조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면서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연구단 홈페이지에 올린다. 학생들의 반응도 좋다. 연구단의
박사
과정 조성우 씨는 “
박사
학위를 받기 이전에도 자기 논문이 인용되는 사례가 많다”며“조사할 때마다 연구단의 논문이 평균 약 20편씩 인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이런 덕분일까. 지난해 서울대 자체 조사결과에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대한 관심이 너무 부족한 건 아닐까. “육종기술 체험, 강원도로 오세요”우장춘
박사
가 과거의 육종기술 전도사였다면 요즘은 이 과학자가 육종기술을 알리는 데 발 벗고 나서고 있다. 강원대 원예학과 강원희 교수다.강 교수는 5년 전부터 매년 과학에 관심 많은 학생과 과학교사를 모집해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개발할 수 있다.하지만 농가 현장에선 분자육종이 아직 먼 얘기다. 농촌진흥청 김연규
박사
는 “분자육종의 장점과 필요성을 농민들에게도 충분히 알리고 분자표지를 농가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전통 육종학자는 실제 작물을 재배하며 현장에서 많은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레이더다. 이동인 교수는 부산수산대를 졸업한 뒤 일본북해도대에서 지구환경과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부터 부경대 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환경대기연구실에서 레이더기상학과 구름 및 강수의 미세물리학을 연구한다. ‘편파파라미터 차등위상을 이용한 편파레이더 강수감쇄 ... ...
오늘부터 당신도 미팅의 제왕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다른 암컷과 짝짓기하는 행위를 보면 구애를 받아들이는 기이한 현상을 보였다. 메리
박사
는 “이런 특징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에서도 뚜렷이 드러난다”고 말했다. 동국대 교양교직학부 장대익 교수는 이 현상을 ‘배우자 모방 선택’으로 설명했다. 장 교수는 “암컷이 남들이 선택한 수컷을 ... ...
도시의 전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차이 등으로 설명을 시도하는 학자들이 있다.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학자 최석정의 저서‘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을 써 ... ...
원자로 냉각의 한계를 넘어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2009년 4월 27일 오전 9시경, 한국수력원자력(주) 기계설계팀 연구원과 나를 포함한 석,
박사
3명은 실제 원자로의 1/10 크기인 원자로를 만들고 외벽 냉각 기술을 이용했을 때 중대사고시 안전한지를 검토하는 실험을 준비하고 있었다. 모두가 지켜보는 가운데 실험장치 안이 가열되기 시작했고,약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