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승용차 강판이 ‘쿠킹호일’입니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지난 7월 경부고속도로에서 졸음운전을 한 버스가 승용차를 들이받아 승용차에 탑승한 부부가 사망하는 끔찍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사고를 당한 승용차가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찢기듯 손상돼 충격을 줬습니다. 도대체 강판을 어떻게 만들기에 그런 걸까요?내수차 강판, 수출차보다 ... ...
- 수학과 함께하는 행복한 시간, 2017 수학문화축전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프로그램의 하나로,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려요. 김종락 서강대학교 교수와 방승진 아주대학교 교수, 퍼즐수집가 강금만 씨가 기사에 실린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줄 거예요.기사에 나왔던 장난꾸러기가 만든 교통 미로도 직접 걸으며 탈출할 수 있게 대형 구조물로 설치될 예정이에요. 주사위를 굴려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가사와 라임이 맞는 가사를 자동으로 추천해 준다면 한결 수고를 덜 수 있다.핀란드 알토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연구팀은 미국의 유명 래퍼 104명의 랩 가사를 분석한 뒤 입력한 가사와 어울리는 가사를 추천해 주는 프로그램 ‘딥비트’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에미넴, 제이지, 투팍, 닥터 드레 등 유명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연립방정식으로 푸는 게임, 나야 나! 라이트 아웃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포스텍 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시카고캠퍼스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부호론과 암호론, 산업수학, 인공지능입니다. 2004년 캐나다 조합론연구소에서 주는 커크만 메달을 한국인 최초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 ...
- Part 3. 비상! 쓰레기 홍수 발생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시민들은 생활 쓰레기를 집 앞에 내놓습니다. 쓰레기차는 이를 모아 매립지로 옮겨요. 쓰레기차가 가는 가장 짧은 거리는 어떻게 찾을까요?쓰레기차가 1대라면, 최단거리는 ‘순회하는 외판원 문제’를 풀면 됩니다. 외판원이 도시 N개를 한 번씩 들렀다 올 때 최단거리를 구하는 문제예요. 외판원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지난 7월 13일에는 박테리아의 게놈에 영상을 넣고, 재생한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학과 교수의 연구가 네이처에 실리기도 했었죠. 이 또한 정보를 읽고 쓰는 것을 수학적 이론에 기반한 기술로 구현한 것입니다. 게놈 자체가 일종의 컴퓨터이고, 메모리이기도 하기 때문이지요.이렇게 유전학 ... ...
- [가상인터뷰] 개미 사회의 스파이, 반날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살 수 있는 거야? 반날개 최근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조셉 파커 연구원과 일본 규슈대학교 박물관의 무네토시 마루야마 연구원이 ‘군대 개미’로 위장해 개미 사회에 섞여 사는 반날개를 관찰했어요.반날개는 개미와 매우 비슷한 생김새를 하고 있어요. 또 개미와 섞여 행진하고 다른 먹이를 함께 ... ...
- Intro. 뇌파로 조종한다? 똑똑한 거대 로봇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위잉~, 쿵! 위잉~, 쿵”드디어 첫 출동이다! 우리는 어린이가 위험에 처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가는 거대로봇 듀오야! 좀 전에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받았어. 어린이가 무너진 건축물 사이에 갇혔대.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거대로봇은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거 아니냐고? 천만의 말씀! 벌써 ... ...
- Part 2. [걸음걸이] 두 발로 걸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한 발로 중심을 잡아라!키는 4m, 무게는 1.6t이나 되는 거대로봇이 어떻게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을까요? 메소드-2 프로젝트에는 참여했던 서울과학기술대 김정엽 교수님을 비롯한 많은 로봇과학자들은 로봇이 두 발로 걷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한 발로도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하고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곳에 더이상 파도가 치지 않고, 울퉁불퉁한 바위에 숨을 공간이 사라진 거예요.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최창근 교수는 사람들의 개발 사업으로 파괴되고 있는 해양 생태계를 복원하고 있어요. 특히 하부 조간대를 덮고 있는 해조류 복원에 집중하고 있죠.해조류를 복원하는 첫 단계는 콘크리트, 강철, ... ...
이전3943953963973983994004014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