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는 유일한 암이다. 독일의 바이러스 학자 하랄트 추어하우젠은 HPV를 발견한 공로로 200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 독일에서 의학 박사학위를 받은 추어하우젠은 1966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부설 필라델피아 아동병원 연구소에서 본격적인 바이러스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바이러스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일으키며 손상되는 현상이다. 현상 자체는 일찍이 1900년대 중반부터 알려져 있었다. 1930년대 유전학 연구를 시작한 조지 데이비스 스넬은 암세포에서 이런 거부반응을 확인했다. 스넬은 생쥐를 20세대 이상 형제자매끼리 교배시켜 유전적으로 비슷한 개체군을 여러 개 만들고, 한 개체군에서 다른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활발하게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항원 부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매년 유행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그나마 항원 부위의 변화가 조금씩 천천히 일어난 결과다. 이를 항원소변이라고 한다. 이와 달리 2009년 발생한 신종플루는 돼지에 감염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임상시험에서 메르스 치료에 대한 효능을 입증한 약물은 없었다. 메르스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년 동안이나 지속됐음에도 항바이러스제는 단 한 종류도 개발되지 못했다.문제는 코로나바이러스뿐만이 아니었다.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바이러스, 2013년 에볼라바이러스가 차례로 찾아왔다. ... ...
-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예정이라고 해. Q 중국에서 아이슬란드까지 오는 길이 고달팠을 것 같아.우리는 작년 6월 약 9600km를 이동해 아이슬란드로 이사했어. 긴 여정 동안 우리를 옮기기 위해 특별 제작된 들것, 수조, 수온을 유지할 4t의 얼음 등 많은 준비물이 필요했지. 그러고도 30여 시간 동안 트럭, 비행기, 배를 4번이나 ... ...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융교 책임연구원은 “배터리의 성능이 좋아진다면 태양광 드론의 비행 기간을 최대 1년까지 연장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는 더 좋은 성능의 임무 장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EAV-3의 탑재 능력을 높이는 연구에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답니다.성층권 태양광 드론은 전세계적으로 개발이 ...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자율수중로봇이야. 미사일처럼 생겼지. 미국 캘리포니아 몬테리만해양연구소가 2007년부터 만들기 시작한 로봇 중 하나야.내 잠수 실력이 궁금하다고? 나는 물속에서 하루 이틀 동작할 수 있었던 기존의 자율수중로봇들과 달리, 한번 잠수하면 몇 주간은 물 밖으로 나오지 않아도 돼. 차가운 ... ...
- [교육뉴스] 수학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라! 제2회 매스 아트 작품 공모전 개최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녹인 작품은 물론, 수학실험이나 수학체험 콘텐츠를 모집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죠.2018년 11월에 열린 제1회 매스 아트 작품 공모전에서는 테셀레이션을 비롯해 스트링아트, 기하와 벡터, 파스칼 삼각형 등 다양한 수학 개념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나왔습니다. 그중 대상 수상작으로는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밝혔습니다. 프록시마 b의 정보를 담은 전파는 지구까지 오는데 약 4.37년이 걸리니까 2060년에는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할지도 모르겠네요! ☆ 별의 움직임을 분석해 외계행성 찾는 ‘시선속도’ 별이 관측자에게서 멀어지면 별빛의 파장이 빨간색에 가까워지고, 관측자에게서 가까워지면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생태학자 크리스 토마스는 2004년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의 온도가 2°C 상승하는 2050년이면 모든 생물종의 3분의 1 이상이 멸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 3분의 1에 인간이 없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제는 정말 ‘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할 때다. 용어정리* 증발산량 : 강수량과 물이 대기로 ... ...
이전3943953963973983994004014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