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d라이브러리
"
기준
"(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질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경우 물질은 순수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입니다. 이 경우는 물질을 판단하는
기준
이 감정에 치우쳐 있다고 생각합니다.물질은 '의식과 독립된 객관적 실체'라고 보는 것이 현대적인 개념입니다. 따라서 한솔군의 경우 생각하기 따라서 있고 없음이 결정되는 우정을 물질로 볼 수 없다는 판단은 ... ...
하이테크 시대의 복병 EMI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명실 공히 선진국 대열에 들기 위해서는 이에 관한 적절한
기준
이 확립돼야 하고, 이에 앞서 관련 기술이 확립될 수 있도록 산업체 연구소 학교 그리고 관련 정부 기관에서 많은 노력을해야겠다 ... ...
초소형과 슈퍼컴의 극단적 조화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기상관측 등에 필수적인 슈퍼컴퓨터의 개발경쟁은 90년대말에는 1테라플롭스(연산 처리
기준
1조분의 1초)대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컴퓨터 도서관, CD-롬CD-롬이 새로운 기억매체로 크게 각광받게 될 것이 확실시된다. CD-롬(Compact Disk Read Only Memory)은 레이저를 이용, 디지털정보를 읽어내 ... ...
PARTⅠ 도시교통문제를 보는 시각 달라져야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9배, 승용차는 28배나 된다. 연료의 소비율에 있어서도 양상은 비슷하다. 지하철을 1로
기준
할 때 버스는 4배, 승용차는 25배 연료를 많이 쓴다.따라서 세계의 대도시들은 예외없이 대중교통의 육성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특히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는 지하철의 건설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적극 ... ...
PART4 주차난의 해결사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무료주차로 구분한다.노상주차 비중은 점차 줄어한편 주차처리의 기술적 방식을
기준
으로 해서는 평면주차와 입체주차로 나누는데 대도시에서는 입체주차시설의 보급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하지만 작은 도시에서는 대개 노상주차에 의존하고 있다. 반면 대도시에서는 노외주장의 비중이 크다. ... ...
영상창작의 대중화를 실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기준
도 달라져 정확한 색을 재현시키기 위해서는 이 변화하는 온도에 맞도록 흰색의
기준
을 맞춰주어야 한다. 영상창작의 즐거음을 만끽 우리나라에서는 87년 금성사가 처음으로 'GS8AF'라는 모델의 캠코더를 시판하기 시작했다. 뒤이어 삼성전자도 88년부터 VHS-C 방식인 'SVIC15'를 내놓았다.금성의 GS ... ...
PARTⅡ 조력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부존량도 연안지역에서만 시설용량
기준
으로 약 1천5백만KW 정도로 매우 높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미래에 다가올 에너지 고갈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끝으로 우리나라 서해안에 ... ...
편집증의 정신분석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하는 할아버지를 동일시했던 것 같다. 할아버지의 '복수철학'이 그대로 범인의 가치
기준
의 일부분에 포함된 것이다.정신분열증과의 차이살인자의 과거 성장배경을 살펴 보면 몇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그들은 대체로 어려서 부모나 주위 사람으로부터 가해진 마음의 상처를 자주 경험하고 ... ...
너무나 심각한 환경오염 우리는 이런 위험 속에 살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주거지역에서 환경
기준
을 넘어섰고 상업·준공업지역의 경우 대전과 대구만이 환경
기준
을 밑돌았다. 그러나 이 자료는 광주가 주거지역은 물론 상업·준공업지역에서도 서울보다 소음공해가 훨씬 심한 것으로 나오는 등 일반인의 상식과 어긋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측정지점의 선정 등에서 ... ...
과학계에 새바람 일으킨 과학기술운동을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일본보다 오히려 적습니다. 그러나 실제 환자수가 적을 리는 만무하고 단지 직업병의
기준
을 엄격히 해서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으면 직업병으로 쳐주지 않고 있을 뿐이지요. 이럴 때 없는 사람들에게는 과학이란 도망가기 좋은 수단으로 비쳐지지 않겠어요.한-과학자하면 흔히 박사학위 받고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