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선은하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속물질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온세상이 불타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 광경을 본 제우스가 마차를 향해 번개를 던졌고,
결국
파에톤은 별똥별처럼 긴 불꽃을 내며 에리다누스 강에 떨어져 죽었다.사실 전파은하 ‘0313-192’에서 나오는 제트도 에리다누스가 풍기는 죽음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이 전파 제트는 뭐든지 집어삼켜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불 박사는
결국
이스라엘의 첩보국 모사드에 의해 1990년 3월 암살당하고 말았다.
결국
이라크의 슈퍼건은 완성되지 못했다.그렇다고 쥘 베른의 꿈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었다. 1985년 미국에서 우주대포에 관한 연구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존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방출할 수 있고, 화면의 형광 물질에 정확하게 부딪쳐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전자총의 원리를 갖는 CRT만큼 값이 저렴하면서도 고화질을 구현하고, LCD나 PDP를 능가하는 얇은 평면을 구현할 수 있다. 나노 물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개발은 현재 초기 단계지만,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이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있다. 아직 연구를 진행중이만 만능세포인 배아줄기세포로 정자로 분화시키는 방법도
결국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난자를 만드는 과정에 문제가 있는 여성을 위해서는 미성숙난자의 체외수정법(IVM-IVF)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여성은 태어날 때부터 난소에 미성숙난자를 보관하고 있다가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일어난다. 박테리아의 대사 결과물로 생긴 산은 치아의 표면을 녹이고 구멍을 만들어
결국
충치를 발생시킨다.오오시마 연구팀은 한 그룹의 쥐에게는 카카오 콩의 껍질 성분이 든 물을 먹이고, 나머지 그룹에게는 평범한 물을 먹였다. 물론 두 그룹의 쥐에게는 동일하게 설탕이 듬뿍 든 식단을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빛의 진행 방향과 액정 분자의 방향과의 차이에 따라 굴절율과 전도율이 달라진다.
결국
액정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량을 조절하는 광 조절 밸브(valve)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또한 액정은 적은 전압으로도 분자 배열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이 적고, CRT처럼 전자총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연결망이 그랬다. 물론 필자(정하웅)가 연구중인 충무로 네트워크도 예외는 아니었다.
결국
1959년 이후 네트워크의 구조에 관해 우리의 사고를 지배했던 무작위 네트워크의 이론은 막을 내리고 새로운 척도없는 네트워크라는 이론이 탄생한 것이다.불균일한 척도없는 네트워크의 구조가 우리에게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변화시킬 것이다. 그러나 X와 Y가 결합하지 않는다면 GAL4는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결국
배지는 푸른색을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이 방법의 장점은 대량의 단백질을 대상으로 그 결합 여부(X와 Y가 결합하는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는 점이다. X와 Y에 해당하는 단백질은 종류와 숫자를 얼마든지 ... ...
시계의 역사 간직한 찬송가·뮤직박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아름다운 소리를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종치기는 종치는 기술을 갈고 닦아야만 했다.
결국
종치기는 교회 탑에 걸린 것과 같은 모양의 종에 손잡이를 부착해 손으로 흔들어 소리를 낼 수 있는 핸드벨로 먼저 연습을 했다. 한소리 양이 손에 들고 있는 핸드벨이 바로 중세 종치기들이 교회 탑에 걸린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원래 은하들이 형성될 때 같이 만들어지거나, 별 질량의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끌어들여
결국
거대블랙홀로 성장하거나, 아니면 좀더 작은 블랙홀의 무리가 병합해 거대블랙홀로 커진 것으로 말이다. 물론 전혀 다른 가능성도 생각해볼 수 있다.최근 찬드라 X선 망원경은 별 질량의 블랙홀과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