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소똥구리의 먹이를 위해 소를 키우다?!소똥구리가 잘 자라기 위해서는 먹이인 똥이 가장 중요해요. 신선하고 촉촉한 똥일 때만 소똥구리가 똥을 원하는 크기로 굴려서 먹을 수 있거든요. 또 똥 속의 영양분이 풍부해야 알에서 깨어난 소똥구리가 이를 먹고 잘 성장할 수 있지요. 이강운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불구하고 듀밀-코핀 교수의 이번 필즈상 수상에 대해서는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입니다. 가장 큰 업적으로 평가받는 두 업적 뒤에 지도 교수가 있어서지요. 만약 이 모든 걸혼자 했다면 필즈상 수상이 유력하지만, 이미 대가로 평가받는 스미르노프 교수와 함께 했다고 하니 필즈상을 받기에는 아직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과목 전체를 뺐으니 이번 일은 어느 때보다 충격적입니다. 더욱이 기하는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과목 중 하나이자, 기본적인 과목입니다. 인류와 함께한 기하의 인생 기하란 쉽게 말해 도형과 공간에 대해 배우는 학문입니다. 기하의 영어 단어인 ‘geometry’는 그리스어로 땅을 뜻하는 ‘geo’와 ... ...
- [이달의 사물] 슬라임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맞아 최근 가장 ‘핫’한 장난감인 ‘슬라임(slime)’을 준비해봤습니다. 슬라임은 약 3년 전 유행했던 액체괴물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훨씬 더 꾸덕꾸덕하고 끈적거립니다. 가수 아이유가 지난해 7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진주를 넣은 슬라임을 가지고 노는 영상을 올리면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층에서 가중치를 얻는다. 각 층을 통과할 때마다 이 작업이 반복되고, 마지막 출력값으로 가장 가중치가 높은, 즉 개발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비보호 상황인 경우에는 핸들의 각도 등이 최종 출력값이 된다. 이 값에 대한 피드백은 다음 데이터를 학습하는 데 사용된다. 김 교수는 “최대한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있다. [Interview]_이광철 “국내 질량 척도의 정밀도 높일 것” 현재까지 측정된 가장 정확한 플랑크 상수는 6.626070150(69)×10-34kgm2s-1이다. 올해 11월 플랑크 상수를 기반으로 한 단위 재정의가 승인되면 2019년 5월 20일부터는 새로운 질량 단위를 사용하게 된다. “플랑크 상수 값을 고정해 ... ...
- [INFOGRAPHIC] 암호기술 변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암호기술 혁명, 동형암호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INFOGRAPHIC] 암호기술 변천사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암호기술 혁명, 동형암호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INFOGRAPHIC] 암호기술 변천사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 ...
- [인터뷰] 정원영_광주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학교생활 최우선, 사교육 최소화”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984년 개교한 광주과학고는 2014년 영재학교로 전환됐다. 2019학년도 신입생 모집은 올해 3월 26일부터 4월 2일까지 원서 접수를 받았으며, 90명 ... 충분히 도전할 수 있는 전형을 만들고, 사교육보다는 학교생활에 최선을 다한 학생을 가장 가치 있게 평가하고 최우선 선발하겠다”고 밝혔다 ...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전체 운동량의 합은 변하지 않고 보존 된다는 것이다. 운동량 보존 법칙을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예는 당구공의 충돌이다. 위 그림에서처럼 운동을 하는 당구공이 있다. 이때 왼쪽에 있던 당구공 A가 오른쪽의 당구공 B와 충돌하고, 충돌 뒤 두 당구공 A와 B는 진행하던 방향으로 운동을 ... ...
이전3943953963973983994004014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