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학에서 찾는 경영의 지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박용태 교수를 만났다. 그는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들 중에서는 유일한 경영학
박사
이다. 학부 때 산업공학을 전공하긴 했지만 무역회사에 취업해 일하던 중 미국으로 건너가서 경영학 학위를 땄고, 이후에는 10년 가까이 정부기관에서 기술정책 분야의 전문가로 일했다. 다양한 산업분야 전반에서 ... ...
노벨상 꿈꾸는 삐에로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배 교수를 '수학
박사
'라고 불렀던 것이다."선생님의 말을 듣자 '그래, 나는 수학
박사
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 말을 계기로 수학을 해야겠다고 결심했지요. 그런데 나중에 어른이 된 뒤에 선생님을 만나 보니 선생님께서는 그런 말씀을 하신 것도 기억 못 하시더라고요. 허허." 배 교수는 삐에로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박효근 교수는 서울대 농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식물육종학으로 농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중화녹두 1호’를 개발하며 40여 년 동안 농작물 육종가의 길을 걸어왔으며, 2004년 아시아태평양종자협회(APSA)에서 특별공로상을 받았다. 올 5월 다국적 식물생명공학기업들의 공동체인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있다는 사실이다.이승호 교수는 건국대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기후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년에서 1989년까지 공군기상대 예보장교를 지냈으며 2006년부터 현재까지 건국대 기후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기후학’ ‘한국의 기후와 문화 산책’ 외 다수가 있다 ... ...
“네안데르탈인 너무 적어 빨리 멸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이 나왔다.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아드리안 브릭스
박사
팀은 “네안데르탈인(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6명의 화석을 분석한 결과 7만~3만 8000년 전 사이 유럽에 살았던 가임 여성 수가 최대 3500명을 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체 ... ...
“기후변화요? 히말라야 오르면 보입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한 번도 못 봤습니다. 이산화탄소 줄이자, 줄이자 하면 뭐 합니까? 실천을 해야죠. 이론만
박사
면 아무런 소용이 없어요. 현장을 알아야죠.”기후변화 전도사 자청한 탐험가엄 대장은 청소년에게 희망을 품는다. 기성세대에게 실천과 행동을 요구하는 게 쉽지 않다는 걸 잘 알기 때문이다. 그는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설명했다.모기 다리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연구팀도 있다. 중국 달리안기술대 첸웨이 우
박사
팀은 2007년 모기 다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털들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모기는 이 털 덕분에 물에 젖지 않고 표면장력이 생겨 물 위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 ...
첨단장비 활용해 미래 과학자 키우는 엑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청소년과학활동지원사업인 ‘엑스사이언스(X-Science)’다. 기초연 대외협력부장 황병상
박사
는 “우리 연구원에는 현재 첨단장비가 340여 종(1200억 원 규모)갖춰져 있다”며 “엑스사이언스는 이를 활용해 학생들에게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라고 밝혔다.진짜 연구원처럼 MRI나 레이저 ... ...
박테리아가 불로장생약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수명연장에 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잭슨연구소 데이비드 해리슨
박사
팀은 사람으로 치면 60살에 해당하는 600일 된 쥐에게 라파마이신을 투여하자 기대수명이 암컷은 평균 38%, 수컷은 평균 28% 더 길어졌다고 ‘네이처’ 7월 16일자에 발표했다.라파마이신은 1965년 거대 석상으로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대부분 동양배. 서양배나 중국배에 비해 육종이 쉽지 않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정희
박사
는 “동양배는 교배한 뒤 적어도 5년이 지나야 과실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수량과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검은별무늬병에 취약하다”며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육종기술을 연구 중”이라고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