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진짜 사람팔처럼 느껴지려면 아직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아요. 한양대학교 임창환 교수는 “다른 생각을 할 때도 로봇팔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과학자들은 로봇팔을 움직이면서 모든 촉각과 관절의 움직임, 중력의 정도까지 느낄 수 있도록 연구 중”이라고 말했어요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통해 다양한 로봇들도 보고 원하는 꿈을 이루기 위한 방법과 힘을 얻었어요. 앞으로 교수님이 개발하실 상상력 넘치고 기상천외한 로봇들을 기대할게요 ... ...
- [과학뉴스] 종이로 만든 고감도 압력 센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작동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에 따라 소문자와 대문자를 구분해 출력했다. 심 교수는 “재료 자체의 거친 표면을 활용해 압력 센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2017년 11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002/smll.20170036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뤄지고 있다. 폴더블폰 다음엔 어떤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가 등장할까. 김 교수는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섬유처럼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현재 과학자들은 신축성 있는 메모리와 배터리, 트랜지스터를 연구하고 있다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예상해 쿠폰과 가까운 매장 정보를 보낸다. 김상욱 한양대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교수는 “현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추천 서비스는 대부분 빅데이터를 활용해 파악한 사용자의 취향을 추천한다”며 “도서나 영화 등 어떤 상품을 판매하느냐에 따라 업체마다 최적의 알고리즘을 개발해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칭화대 인공지능센터는 생명과학, 컴퓨터공학, 반도체공학, 재료공학 등 7개 학과 교수들로 구성된 융합 연구센터다. 삼성전자에서 개발에 참여했던 대부분의 메모리는 ‘멤리스터(이전의 상태를 모두 기억하는 메모리 소자)’의 일종이다. 멤리스터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기능과 전류의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장 조직을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의 신준섭 서울대 의대 교수는 “3D프린팅은 장기의 형태를 지지하는 구조체나 뼈 등 면역거부반응이 거의 없는 조직을 만들 때 유리하다”며 “여기에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첨단 세포 배양기술을 덧붙인다면 수술에 필요한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포지엄에서 미국 캘리포니아 데이비스대(UC데이비스) 수의대 동물행동의학과 명예교수인 벤저민 하트 박사의 발표에 따르면, 1548마리의 건강한 개 중 16%가 심각한 식분증을 보였습니다. 이 자료를 토대로 하트 박사는 “건강한 개가 보이는 식분증은 정상행동”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똥이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실험이 의미있는 이유는 이동식 광격자 시계를 활용했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가토리 교수팀은 2016년 이동식 광격자 시계를 개발하고 해발고도가 15m 정도 차이 나는 두 지역의 시간차를 측정해 ‘네이처 포토닉스’에 발표했다. 여기서 사용한 시계는 말만 ‘이동식’이 붙었을 뿐 트레일러에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생명과학을 심도 있게 연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겨울방학부터는 정용원 KAIST 화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단백질 연구에 참여한다. 단백질은 DNA에 의해 큰분자로 조립된 뒤 로봇처럼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어떻게 조립되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오 씨는 “고등학교 때 R&E에 실패했던 ... ...
이전3933943953963973983994004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