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응용과학
d라이브러리
"
과학기술
"(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사용할 때보다 감응도가 100배 이상 좋아졌다. 장 교수는 이 연구로 올해 7월 ‘이달의
과학기술
자상’을 수상했다.연구원들도 나노 고분자에 푹 빠져있다. 고분자재료연구실에서는 석사과정 연구원들도 국제 수준(SCI급)의 논문을 다섯 편씩 쓰고 졸업한다. 연구원 생활 동안 노하우를 익히다보니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달고 짠 음식이 고혈압과 당뇨 같은 성인질환의 주요 원인임이 밝혀진 뒤, 현대사회에서는 조미료 사용을 줄여 싱겁게 먹는 ‘웰빙 식사’가 뜨고 있다. 하지만 수십 년간 소금과 설탕의 맛에 익숙해진 현대인에게 싱거운 식사가 쉽지만은 않다.각종 성인질환을 앓고 있거나 신장질환을 앓고 있는 ... ...
다리에서 에펠탑까지 , 도시가 변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찰칵~!’거리를 걷다 멋진 건물이나 다리를 보면 친구들은 어떻게 하나요? 휴대전화나 디지털카메라로 그 풍경을 찍을 거예요. 하지만 사진기가 없거나 드물던 시절에는 어땠을까요?대부분 화가들이 풍경화를 그렸을 거라고 생각하기 쉬워요.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아요. 불과 약 150년 전까지 ... ...
디지털 자물쇠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 번호를 사용하는 열쇠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많은 경우의 수를 가진 첨단 자물쇠가 등장하고 있다. 과학의 기술로 전기와 자석, 사진 등의 원리를 이용해 반도체 칩, 스마트카드, 지문, 홍채 등 디지털 정보를 열쇠 대신 활용하는 자물쇠다. 또한 예전에는 정부기관이나 주요 시설에만 설치되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삼국지를 읽다 보면 흥미로운 기록이 나온다. 촉나라의 재상인 제갈공명이 위나라와 전쟁을 치를 때 ‘목우유마(木牛流馬)’를 만들어 군량을 나르는 데 썼다는 내용이다. 목우유마는 나무로 만든 소와 말이라는 뜻이다. 살아 있는 소나 말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먹지도 마시지도 않으며 밤낮없이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해서 미시세계에서 아인슈타인의 중력이론이 완전히 검증된 것은 아니다. 그러니
과학기술
이 발달한 21세기에도 자유낙하 실험은 계속되고 있다. 그렇다면 태양계 너머 거시우주는 어떨까. 양자역학과 달리 거시세계를 설명하는 일반상대성이론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거듭되는 검증을 거쳐 입증이 ... ...
나로호 내년에 세 번째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않아 실패했으며 올해 6월 10일 발사한 로켓은 발사체 이상으로 공중 폭발했다.교육
과학기술
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8월 9~12일 대전에서 열린 제3차 한·러 공동조사위원회(FRB) 회의에서 나로호 발사를 실패로 결론짓고 재발사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재발사는 2차 발사실패의 원인을 ... ...
“내 손으로 풍력발전기 만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바람개비에 날개를 6개 붙이면 더 잘 돌지 않을까?¨¨날개 끝을 곡선형으로 잘라보자. 바람을 잘 탈 것 같아.¨지나가던 파란 눈의 ‘위저드’는 “날개를 좀더 축에 가까이 달면 어떨까”라고 조언했다. 완성된 바람개비가 선풍기 바람에 빙글빙글 돌자 학생들은 “우와”하며 탄성을 질렀다. 8월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대학 입시에서 매해 증가하던 수시 모집 비중이 올해 더욱 커졌다. 고려대는 올해 입시에서 우선선발 조건에 해당하는 학생을 논술 100% 전형으로 선발할 계획을 밝혔다. 어느 때보다 논술이 입시 당락을 결정하는 열쇠가 됐다. 고려대 논술의 출제 경향과 변화사항을 체크하고 대비책을 살펴보자.고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2010년 8월 15일 광복절. 3년 8개월의 복원 공사 끝에 새 광화문이 대중에 공개됐다.광화문처럼 기구한 운명을 겪은 문화재도 흔치 않다. 조선 태조 4년(1395) 처음 지어졌지만 임진왜란 당시 훼손돼 260년을 폐허로 지냈다. 고종 1년(1864)에 중건돼 지금의 모습을 갖췄지만 일제강점기 시절인 1927년, 조선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