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유리하다.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이 고구마에 관심을 둔 까닭최근 홍수 가뭄 등 지구촌 곳곳에서 이상기후 현상이 일어나면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크게 바뀌고 있다. 게다가 곡물을 이용해 바이오에탄올 등 바이오 에너지를 개발하려는 열풍이 불면서, 기존에 사람 또는 가축이 먹었던 옥수수 ... ...
- 가게 명당, 통계로 찾는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이곳에 이런 업종의 가게가 들어섰는지, 왜 이곳에 있던 가게가 사라졌는지, 나는 왜 이곳에서 상품을 구입하는지 생각해 보세요. 통계와 친근해지는 건 물론 통계적으로 사고하는 합리적인 습관을 기를 수 있을 거예요 ... ...
- 10화 주사위의 방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한 건 했는데?”“그런데 거울이랑 주사위, 이 물건들이 어떻게 시간의 열쇠가 있는 곳으로 이끈다는 거죠? 무슨 힘이 있나요?”“크크크크. 그건 비밀~! 물건들이 하나 둘 모이게 되면 자연스레 알게 되겠죠 ...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에스허르가 태어난 네덜란드는 어딜 가도 평지밖에 없는 ‘평평한 땅’이다. 가장 높은 곳이 해발 322m에 불과할 정도로 평면적인 나라다. 하지만 에스허르가 방문한 이탈리아는 평야 면적이 국토의 20%밖에 되지 않는 ‘울퉁불퉁’한 땅으로, 최고 4000m에 이르는 높은 산들이 즐비하다.난생 처음 ...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젤마노프 교수처럼 매해 고등과학원을 방문하는 석학들도 있지만, 더 많은 분들이 이곳에 방문해 우수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우선 고등과학원에 연구 공간이 많이 부족한데요, 연구 공간을 늘리는 것이 첫 번째 목표입니다.”개인적인 목표가 있으시다면?“연구하는 기관장이 되는 것이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세대를 이어가며 아프리카의 숲에 머물렀다. 지구는 다양한 영장류가 어울려 사는 곳이 됐다.그 후 500만 년이 다시 지난 지금, 영장류는 세계에 480종이 사는 대가족으로서 여전히 번성하고 있다. 다양성으로만 보면 태반 포유류 중 세 번째다. 하지만 인간에 의해 서식지를 잃고 진화의 기회를 빼앗긴 ... ...
- 소지섭은 난독증일까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더 빠르게 읽을 수 있다. 이런 속독은 측두-두정 아래에 있는 ‘후두-측두 영역’이란 곳에서 불과 0.15초 만에 일어난다. 그런데 난독증을 겪는 사람들은 글을 읽을 때 후방 읽기 시스템이 거의 작동하지 않는다. 즉, 글자를 해독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난독증을 겪는 그들에게 글자는 뜻을 알 수 없는 ... ...
- 산호도 미세먼지가 싫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알아냈지요. 이 지역은 최근 화산과 산업 활동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높아진 곳이랍니다. 연구팀은 대기 속의 미세먼지가 태양복사에너지를 반사해 일조량이 줄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산호가 광합성을 제대로 하지 못해 성장을 못하고 개체수도 줄어든 거지요. 산호는 다른 해양 생물의 ...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앗, 여기는 물 연구소?강물이나 지하수, 빗물을 모아 깨끗하게 정화하는 과정을 알려주는 곳이래~.맞아요! 저는 오늘 여러분과 함께 여러 가지 물 실험을 할 물 연구소 소장이랍니다. 여러분은 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알고 있나요?헤헤, 잘 몰라요. 강물은 어떻게 정화하지요?강물은 자연에 있는 여러 ... ...
- [독자탐방] 똑똑한 길을 만드는 교통신호체계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중앙교통정보센터에 들어갔을 때는 많이 놀랐다. 뉴스에서만 보던 교통상황 영상이 한곳에 다 모여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내가 사는 동네인 장승배기 쪽의 교통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아 더 기억에 남았다. ‘교통알림e’라는 앱을 설치하면 온 서울의 교통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에 또 한 번 ... ...
이전3933943953963973983994004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