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미래 보건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은 분명하지만, 모든 의약품에서 100%
활용
이 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약물이 작용하는 메커니즘에는 다양한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관여하거나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환경적인 요인이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현재 전문가들은 약물의 농도를 조절해 ... ...
게놈 통째로 바꾼 인공생명체 첫 탄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바꿔 성공한 사례는 없었다.전문가들은 맞춤형 인공 박테리아가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를 이끈 크레이그 벤터 박사는 “물에 집어넣으면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탄화수소로 바꿔주는 정수 박테리아, 백신 생산 속도를 빠르게 만들어주는 면역 박테리아 등을 인공 ... ...
고지대 남아공월드컵에서 승리하는 비법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마찬가지로 나이키에서 만든 옷을 입는다. 버려진 플라스틱 병 1300만 개를 100% 재
활용
해 뽑아낸 친환경 섬유 ‘에코에버’를 사용했다. 이 유니폼은 무게가 약 130g으로, 지난 2006년 독일월드컵 때 입었던 것보다 15%나 가볍다. 섬유 자체에 공기 투과율이 7% 높아져 시원한 데다 땀에 젖어도 금세 ... ...
태양만 있으면 무한질주! 쏠라포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더위를 동시에 막을 수 있다.태양광 자동차 만들기 사이언스타임 | 1만 4000원폐품을 재
활용
해 만드는 태양광 모형 자동차. 나만의 아이디어로 특별한 태양광 자동차를 만들어 보자. 길이 6.5cm의 대형 태양전지가 들어 있어 약한 빛에서도 잘 달린다.태양광 우주왕복선 사이언스타임 | 1만 300 ... ...
효소라는 ‘핑킹가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줄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핑킹가위, 즉 효소를 개량해 그
활용
가격을 낮춘다면 훨씬 더 좋을 것이다.필자가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는 것은 바이오 디젤 생산에 이용되는 리파아제라는 효소의 열 안정성을 높이는 일이다. 본래 효소는 고온에서 활성을 잃어버려 제 역할을 ... ...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형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할 과목을 잘 선택해 집중해야 한다. 수능 대비에는 반영 비중이 높아진 EBS 교재를
활용
하길 권한다. ‘스펙’ 필요한 입학사정관 전형 올해 또 하나의 이슈는 입학사정관 전형의 확대다. 하지만 입학사정관 전형은 전체 모집 정원의 10% 정도이므로 수험생의 입장에서 너무 휘둘릴 필요는 없다. 고3의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맡은 미국의 저명한 과학저술가 칼 지머도 “개인게놈이 맞춤형 개인의학에 본격적으로
활용
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의사나 환자가 개인게놈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2005년 황우석 사태 이후 새로운 생명과학 분야에 과감하게 뛰어들지 못한 채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어느 정도 안정성을 유지하며 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군사작전이나 화성탐사에
활용
가능로봇새 비행체는 고정익 비행체와 회전익 비행체의 장점을 모두 갖췄다. 고정익 비행체인 정찰기는 일단 저속으로 비행하는 게 어렵고, 조그마한 틈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회전익 비행체인 헬기도 ... ...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네 특기를 살려서 해보면 더 좋을 것 같구나.” 선생님은 N학생의 특기를 살려 플루트를
활용
한 봉사활동을 제안했다. “주위에 악기를 다룰 수 있는 친구들을 모아서 소규모 관현악단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그래서 연주회도 열고 그렇게 얻은 수익으로 네가 빵을 배달해주는 장애인들을 위해 쓰면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함께 성장할 수 있을 거라고 조언했다. 지금처럼 앞으로도 레이저의 이용률이 높고
활용
되는 속도가 빠르다면 레이저가 만들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KAIST 남창희 교수가 한 말이 답이 될지도 모르겠다.“레이저는 10년 전, 5년 전의 모습을 현재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여전히 지금도 빠르게 발전하고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