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현 생태계에 얼마나 적합한지③ 고유 유전자원으로써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④
현재
의 과학기술로 증식이나 복원이 가능한지⑤ 증식과 복원에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⑥ 국민적 관심과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깃대종인지⑦ 지역 주민과 협력이 가능한지⑧ 사람 또는 사회에 피해를 주지 않는 ... ...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여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김도연위원장님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함께하는 ‘개그수학콘서트’다. 그 주인공은 과학자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거쳐
현재
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김도연 위원장이다. ‘키다리아저씨’라는 힌트를 가지고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찾았다.과학기술계의 키다리아저씨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실로 들어서는 모습이 한눈에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예보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물론 과학자들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는다.
현재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태양망원경도 개발 중이다. 한국천문연구원과 서울대가 공동 개발한 고속태양영상분광기가 미국 빅베어천문대에 설치돼 활발하게 활동 중이며, 세계 22개 기관이 공동으로 미국 하와이에 ... ...
차세대 대형 발사체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유럽은 스페이스X사의 ‘팔콘9 헤비’와 경쟁 구도가 될 다음 세대의 아리안 발사체를 두고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운영비 절감을 위해
현재
사용중인 아리안5 발사체를 개선할 것인지, 아니면 새 극저온액체 연료나 고체 연료를 쓰는 아리안6 발사체를 새로 개발할 것인지다.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이 교수는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대선에 대해 아무리 많은 사람들이 떠들어도
현재
기술로는 아직 누가 당선될지 예측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빅데이터를 이용해 예언을 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것이다.더글라스 케넷 미국 펜실베이니어대 인류학과 교수팀은 마야 문명이 멸망한 ... ...
내 머릿속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수 있다. 하지만, 뇌 표면은 주름이 많이 잡혀 있어 각 신경세포마다 바늘을 꽂는 건
현재
기술로 어렵다”고 밝힌 적이 있다. 필자가 원고 마감을 한 직후인 2011년 12월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의 존 로저스 교수팀은 얇고 잘 휘어져 주름진 뇌에 붙일 수 있는 미세 전극을 개발했다고 ‘네이처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문제 풀기 열풍을 주도한 장쩌민과거에 중국 수학을 일으킨 왕으로 강희제가 있다면
현재
는 누가 있을까요? 기자는 지금 ‘수학 문제 풀기’ 열풍을 주도한 장쩌민 주석을 만나러 중국에 나왔습니다. 학생들은 대체 왜 쉬는 시간만 되면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일까요?장쩌민 : 허허허. 제가 낸 수학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때문에 쉽게 예측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해빙이 모두 사라지면 지구가 뜨거워진다
현재
추세대로 북극 해빙이 감소할 경우 빠르면 2040년에 북극 해빙이 모두 녹아 없어질 것이다. 여름철 북극 해빙이 모두 사라지면 지구 온도를 낮추는 에어컨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매서운 폭염을 일으킬 수 ... ...
7년째 잡히지 않은 77246 위조지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있어 홀로그램의 위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우리나라 지폐에 들어가는 홀로그램은
현재
100%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다.1000원권을 제외한 모든 지폐에 들어가 있는 ‘숨은은선’ 속의 문자 또한 위조가 힘들다. 새겨져 있는 글자의 크기가 워낙 작아 스캔이 힘들고, 스캔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보통 ... ...
단백질 어떻게 보시나요? 3D로 봅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T7)의 DNA중합효소와 DNA의 복합체 구조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는 박테리오파지 대신 인간의 DNA중합효소와 DNA의 복합체 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엄 교수는 “이전까지 현상만을 관찰했다면, 이제는 구조를 알게 됨으로써 그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 알 수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