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원래 생물과 환경을 좋아하고 해양에 대한 관심도 있거든요. 직접 와서 경험해보니 진짜 여기라면 제 목표로 삼아도 좋을 것 같아요. 여자친구 사귀기 힘든 것만 빼면 힘든 것도 없고. 아주 걱정이 풀린 건 아니지만, 최 박사님을 멘토 삼아서 노력해 보려고요 ...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더 이해하기 쉬운 글을 쓸 수 있다는 설명이 덧붙여졌다. 최 대표와 최 편집장 역시 ‘진화’와 ‘양자물리’를 공부하느라 고생했다는 후문이다.이제는 작가들이 MID를 스스로 찾아오고 있다. 최 편집장은 “‘과학책을쓰고 싶다’는 문의가 계속되고 있다”며, “그 중엔 앞으로 주목할 만한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관련이 있는 특징이 하나 더 있다. 중력이 커서 시공간이 많이 휠수록 시간이 느려진다는 것이다. 영화에서도 시간이 느리게 가는 행성이 나온다. 그 행성은 블랙홀의 강한 중력의 영향을 받아 시간이 느리게 간다. 그래서 만약 우주선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고 있다고 해도, 블랙홀 외부에 있는 ... ...
- [재미] 최종회 변 이장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형사의 손에는 창고 같았던 비밀공간의 쓰레기통에서 발견한 종이가 있었다. 종이에 그려진 미로가 바로 거대한 미로와 같았고, 박 형사는 먼저 미로의 길을 찾았던 것이다.“반장님, 이제 절 체포해 주세요. 누나를 찾기 위해 반장님에게 복수하려고 저지른 행동에 대한 죄 값을 치러야죠. 그리고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때가 있지? 철자가 틀렸다는 걸 알려 주는 펜도 있어. 글씨를 쓰다가 철자를 틀리면 펜이 진동으로 알려 준단다. 그럼 시험 문제를 풀다가 철자를 틀려서 문제를 못 맞히는 실수는 하지 않을 거야. 시험 땐 날 꼭 이용해~.두 배 오래 쓰는 볼펜아주 아주 많이 공부를 할 거라면 날 쓰는 건 어때? 난 일반 ...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물론이고 수학, 물리학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가 이뤄졌다. 지금까지 밝혀진 블랙홀의 이모저모를 한 눈에 담았다. 에르고 영역★ 회전하는 블랙홀에서 생기는 특이한 영역. 블랙홀 연구의 발자취 1783년 영국의 물리학자 미첼이 빛조차 빠져 나올 수 없는 곳이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맡게 됐어요. 당시 많은 어린이들의 사랑을 받아, 그 일을 계기로 전시 쪽으로 아예 진로를 바꾸게 됐죠. 지금은 전시 전문 기획회사의 CEO가 돼 있으니, 돌이켜 보면 참 신기할 정도예요. 지금도 그때 당시 같이 일했던 사람들과 10년째 함께 하고 있답니다. 개인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어딜 가든 함께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갔다는 평가가 많다. 양자 중력은 아직 아무도 알지 못하는 물리학의 성배이기 때문이다.진화의 역사를 보라. 양자역학이 생존에 이익이 된다면 생명은 이를 반드시 이용했을 것이다. 아직 이용하지 않았다면, 양자역학을 깨달은 바로 지금의 인류가 최초의 양자생명체가 될지도 모른다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연구하고 있다. 어떻게 장소 기억이 해마의 시냅스에 저장되는지를 확인하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또 알츠하이머에 걸린 장소세포와 격자세포의 전기신호가 어떻게 변형되는지를 연구해 알츠하이머의 원인도 찾고 있다. 세포의 모양과 반응을 수리적으로 모사하는 컴퓨터 모델도 개발하고 있는데, ...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해결된 건 아니다. 미래에는 비밀의 방마저 뚫는 기술이 나오지 않을까. 거꾸로 ‘안전해진’ 카카오톡이 범죄에 악용되는 사례가 늘어난다면 이번엔 반대의 목소리가 나오지 않을까. 무엇보다 개인의 권리는 사이버공간에서 얼마나 인정받을 수 있는 걸까. 이번 카카오톡과 사이버 망명 사건은 ... ...
이전3923933943953963973983994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