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으)로 총 29,0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싶어요. Q장래희망이 궁금해요!생명과학을 전공해 생태 환경이나 생태계 서비스에 관한 글도 쓰고, 생태 게임도 만들 거예요. 누구나 환경을 즐길 수 있도록요. 또, 환경 관련 프로그램을 제작해 많은 사람에게 생물과 환경에 대한 관심과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라면을 직접 만드는 고생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웅하! 2021년 새해가 밝았소!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소! 그리고 여러분에게 할 얘기가 있소! 아쉽게도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닥터 소는 물러나고 대신 다른 친구가 ... 들어선 어떤 방식으로 연주를 한다는 건지 상상이 잘 안 되죠? 영상을 보면 한 번에 이해가 될 거예요. 신나는 음악은 덤 ... ...
- [질문하면 답해ZOOM] 귤은 왜 누른 후에 먹으면 더 단맛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도면을 3D 프린터에 입력하고 작품의 크기를 얼마나 크게 할지 등을 설정하면 3D 프린터는 이를 분석하여 작품을 만들기 시작하지요.작품 만들기에 앞서 3D 프린터는 온도를 높여 필라멘트를 녹여요. 고체 상태의 필라멘트가 녹아 노즐을 통해 흘러나올 수 있게 되면, 3D 프린터의 노즐은 도면의 가장 ... ...
- 단백질 퍼즐 맞추기, AI가 대신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그 주인공은 바로 구글 딥마인드의 인공지능(AI) ‘알파폴드2’! 아니, 당신은 2016년 이세돌을 꺾은 ‘알파고’의 후손 아닌가요? 왜 딥마인드는 단백질의 구조를 푸는 ... 참석했는데, 올해는 이전보다 무려 30점이 올랐어요. 실험실에서 알아낸 단백질 구조와 거의 차이가 없는 결과였죠 ... ...
- 출격! 우동수비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일할 때 제한 없는 먹이 주기 체험으로 동물들이 굶거나 과식으로 죽는 것을 보며 마음이 아파 직접 동물원을 지었다”며, “우동수비대 활동으로 동물과 행복하게 공존할 방법을 배우길 바란다”고 말했답니다 ...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박쥐는 옮기고 닭은 안 옮기는 이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동물에 따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취약한 종과 그렇지 않은 종이 있다. 미국과 스페인 등 국제공 ... 숙주세포의 단백질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밝히면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371/journ ...
- [과학뉴스] 광학 집게로 원자 집어 시간 알려주는 ‘집게 시계’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광학 집게는 빛을 한 초점에 모으면 그 초점 주변에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한다는 점을 이용해 레이저로 세포나 원자 같이 작은 물질을 집어 옮기는 기술이다. 미국 ... 수 있는 기술은 원자시계뿐만 아니라, 양자컴퓨터에도 응용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 ...
- [과학뉴스] CERN의 앨리스 검출기 센서 국내 연구진이 양산 시험 성공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한국 연구팀이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진행되는 ‘대형이온충돌실험(ALICE·앨리스)’ 검출기 주요 부품 양산 시험에 성공했다. ... 때문에 장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국내 중소기업이 장비 분야에서 거대한 잠재력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 ...
- 코로나19 3차 유행 백신을 확보하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백신 공동구매, 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1000만 명분, 글로벌 제약사를 통해 3400만 명분의 백신을 선구매할 예정 ... 계약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송 교수는 “최대한 많은 양의 백신을 확보하는 것이 현재 시점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등 천문학계의 굵직한 발견 뒤에 허블우주망원경이 있었다.천문학자들은 허블우주망원경이 관측한 자료로 암흑물질도 찾고 있다. 암흑물질은 우주 전역에 분포하지만 빛을 흡수하거나 방출하지 않아 관측이 어렵다. 그래서 직접 관측하는 대신 암흑물질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포착한다. ... ...
이전3923933943953963973983994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