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이 과정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사물이 움직이거나 카메라가 흔들리만 안된다. 자동초점
기능
을 써도 초점이 맞지 않는 사진을 얻는 경우가 허다한 것은 이 때문이다.카메라의 원조는 바늘구멍 어둠상자사진은 광학적으로 얻어진 상을 화학적으로, 또 물리적으로 정착시키는 기술이다. 그래서 사진의 ... ...
고
기능
사운드카드 옥소리 VS 사운드블라스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음성
기능
이 '과학동아' 라고 램에 녹음을 했다면 똑같이 '과학동아' 라고 재생해 내는
기능
인데 반해, 웨이브테이블은 롬에 이미 저장된 소리를 원래대로 재생하거나 음정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 ...
신경세포간 대화부족 해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정신적
기능
을 수행하고 육체적 활동을 통제한다. 우주에서 가장 복잡하다는 뇌의
기능
에 대해 완벽한 연구가 돼있지는 않다. 그러나 뇌 특정 부위의 신경세포 간의 대화에 문제가 생겼을 때 정신병을 유발한다는 윤곽은 파악됐다.정신병을 연구하는 과학자는 신경 전달 물질에 관심이 크다. ... ...
고품질 투명비누 만들기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피부가 거칠어지고 접촉성 피부염도 유발하게 된다.달걀 흰자와 피부조직의 단백질은
기능
상 구조상 동일하지는 않다. 그러나 단백질과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은 일반적으로 달걀 흰자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를 피부에 적용해도 무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세제의 저자극성도 중요하지만 세제의 ... ...
당신의 발은 어떤 모양입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사람은 두발로 서서 걸어다니지만 네발로 걷는 자연계의 다른 동물들과 비슷한 발의
기능
을 갖고 있다. 발은 서 있을 때는 몸의 주춧돌 역할을 하고, 걸어다닐 때는 체중에 의해 몸이 바닥에 닿을 때의 충격을 감소시켜 준다. 또 지렛대 작용을 해 몸을 앞으로 스프링이 튀어 오르듯이 밀어주고, ... ...
평생비서 오!K vs 오거나이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주변에 널려잇는 수많은 개인 정보도 하나로 꿰어놓으면 훌륭한 보배가 된다. 개인일정관리프로그램(PIMS)은 정보가 힘인 세상에서 막강한 위력을 발휘한다. 국산과 외국 ... 이름순 등으로 정렬이 가능하며 같은자료를 입력해 놓고 먼저 입력된 데이터를 불러오는
기능
도 제공하고 있다 ... ...
3. 의약품 '붙이는 약' 전성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약물을 적용시키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리포솜이다. 특수한
기능
을 나타내기 위해 리포솜 표면에 여러가지 다당류나 단백질을 수식시켜 보다 특정한 세포나 장기로의 이행성이 높아졌다는 연구가 이미 발표됐다. 또 제한된 온도나 pH에서만 반응해 선택적으로 약물을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될 수 있었다. 그는 에딘버러 대학의 발성학 교수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인간의 음성과
기능
에 관심을 가졌다.벨은 언어 감각이 매우 뛰어났다. 벨이 한때 캐나다 모호크족의 언어를 배워 말을 유창하게 구사하자 추장이 그를 명예부족원으로 대접했다는 일화가 있다. 벨은 발성학과 음향학을 전공한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유전자에 의해 인간은 인간으로, 원숭이는 원숭이로 태어난다.앞으로 인간게놈지도, 뇌
기능
과 뇌지도가 완벽히 작성된다면 인간의 뇌와 아주 닮은 컴퓨터나 인조인간의 제조가 가능할지 모른다.과학의 발전으로 생물학적 결정론(환원론)은 점점 더 큰 힘을 얻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인간은 환경적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비약적인 발전을 계속해왔다. 그러나 실제로 최근 10여년간은 다른 교육기관과 유사한
기능
에서 약간 우위에 서는 결과밖에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양적인 팽창 이전에 우리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교육방향의 선구자적 개척과 제시는 거의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그렇다면 KAIST가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