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장기가 훨씬 크기 때문에 이식에 적당하지 않다. 반면 미니돼지는 다 자라도 몸무게가 100kg을 넘지 않아 사람과 장기 크기가 비슷하며, 장기의 생리작용도 사람과 유사하다.지노와 지노2의 출생 방식은 동일하다. 교육과학기술부 바이오신약장기사업단은 무균 상태에서 자란 미니돼지 체세포에서 두 ...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과학동아 l2009년 09호
- 명분, 리렌자 48만 명분으로 모두 247만 명분뿐인데, 이는 인구의 5%에 불과하다. 스위스가 100%, 영국과 프랑스가 50%, 일본이 25%의 치료제를 확보해둔 것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8월 24일 정부는 1250억 원의 예산을 긴급 배정해 총 1031만 명분(인구의 약 20%)의 치료제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사실인 듯하다.봄 전어와 가을 전어의 주요 성분의 차이 (식용으로 쓰이는 부위의 100g 당 함유량)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전어의 크기별로도 지방 함량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다. 다음은 전어의 몸 크기별 지방 함량을 조사한 자료이다.전어의 몸 크기별 지방함량이를 종합하면 가을에 잡히는 큰 ... ...
- 공학에서 찾는 경영의 지혜과학동아 l2009년 09호
- 했다. 박 교수와 그의 연구실은 창의적이고 재밌는 연구주제로 인정받고 있다.“지난 100년은 창의성을 시도하는 과정의 역사라고 봅니다. 20세기 전반부의 창의성은 과학자들이 이뤄낸, 우연성에 의한 것이었죠. 그 다음은 과학자가 아닌 엔지니어의 기술적인 마인드에서 나왔어요. 1990년대에는 ... ...
- 2. 재료 절약의 비법수학동아 l2009년 09호
- 부피를 담는다고 해 봐요. 높이를 10cm라고 하면 바닥의 넓이는 100㎠이죠. 그럼 넓이가 100㎠인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그리고 원의 둘레 길이를 비교해 봐요.정삼각형은 한 변이 15.2cm, 둘레 길이는 45.6cm, 정사각형은 한 변이 10cm, 둘레 길이는 40cm, 정육각형은 한 변이 6.2cm, 둘레 길이는 3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과학동아 l2009년 09호
- 넘었다. 단순히 날짜 수로 나누면 하루 생활비가 200만 원도 더 드는 셈이다. 보통 사람의 100배 가까운 비용이다.식성 까다로운 동생지노가 사는 인큐베이터 옆에는 또 다른 인큐베이터가 있다. 여기엔 지노의 동생 '지노2'가 산다. 올 6월 25일 태어난 지노2 역시 알파갈 합성효소 유전자가 제거된 ... ...
- ‘제8회 3M 청소년 사이언스캠프’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점에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캠프가 진행되는 동안 쉬는 시간에는 어린 학생들이 100명 넘게 모여 있어 귀가 따가울 정도로 시끌벅적했지만, 일단 수업이 시작되면 쥐 죽은 듯이 조용해졌다.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부산 대연중 1학년 최윤창 군은 “프로그램 가운데 ...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어떻게 지금의 우리가 됐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저자들은 이 질문의 답을 100만 년 또는 더 오래 공진화한 유전자와 문화에서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저자들도 밝히고 있듯이 우리 인간은 자신의 진화에 대단히 많이 관여하고 있으며, 어떤 문화적 변형을 채택하고 어떤 것을 무시할 ...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이 필요 없다”며 “게다가 느린 빛을 이용하면 필요한 전력량을 100만 분의 1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연구단은 양자역학을 이용한 양자메모리 연구 분야에서도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다. 그동안 양자메모리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시간이 1000분의 1초에도 못 ...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으로 선정한 양친이 100개의 유전자가 서로 다르다면 둘 사이에 태어나는 후손은 무려 2100가지나 된다. 단 한 번의 교배로 이렇게 다양한 후손이 생길 수 있다는 게 교잡육종의 장점이다.다음 단계는 선발이다. 다양한 후손 가운데 가장 좋은 개체를 골라야 한다. 이것이 전체 육종과정 중에서 가장 ... ...
이전391392393394395396397398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