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치료제가 없다. 다행히 최근 경북대병원 순환기내과 이인규 교수팀은 ‘MB12066’이라는
물질
을 넣으면 종양 억제 유전자인 p53이 활성화하면서 세포 증식을 억제해 혈관이 다시 막히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교수는 “최대 90%까지 혈관재협착을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이외에도 쓸개즙이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두 그룹으로 나눈 뒤 한 그룹에는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페닐에 프린과 흥분 전달
물질
인 아세틸콜린을, 또 다른 그룹에는 페닐에프린, 아세틸콜린과 함께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투여했다. 페닐에프린과 아세틸콜린은 전립선을 비대하게 만들어 방광과 요도를 수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험 결과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구슬 표면에 이를 바르면 진주와 비슷해진다. 여기에 다시 염화비스무스와 같은
물질
을 바르면 진짜와 구별하기 힘들 만큼 비슷한 인공진주가 만들어진다. 갈치에서 뽑아낸 진주정은 매니큐어나 각종 장식품 소재로도 많이 이용된다.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다. 필터 역할을 하는 얇은 막은 폴리아미드 계열의 고분자
물질
로 만든다.하루 4만 5000t 담수 생산 시설 2011년 완공“우리나라도 2011년엔 하루 4만 5000t의 담수를 생산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시설을 갖게 될 겁니다.”김 교수는 오는 2011년 부산에 완공되는 해수담수화 시설에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사실상 불가능하다면 원본이 가진 정보를 복사해 실질적으로유전자를 발현시키는
물질
을 조절해 질환을 치료할 수 있진 않을까. 서울대에서 마이크로RNA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는 “DNA에서 만들어지는 RNA가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일을 억제해 유전자를 조절할 수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수 없다.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누구나 알고 있는 면발의 ‘그 씹는 맛’을 내는 마법의
물질
‘글루텐’이 밀에만 들어 있기 때문이다.글루테닌 그물망 사이에 구형 글리아딘 엉긴 상태글루텐(gluten)은 7세기 중국의 승려들이 처음 발견했다고 한다. 식물성 식재료로 고기의 촉감을 낼 수 없을까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번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성균관대 화학과 홍병희 교수는 화학의 한 분야인 나노
물질
의 자기조립(self-assembly) 제조법을 연구하다가 물리학의 영역인 광학에서 놀라운 결과를 얻게 된 배경을 이렇게 설명했다.홍 교수는 2000년 초 포스텍 화학과 박사과정 당시, 이번 논문의 교신저자인 김광수 ... ...
로드킬, 환경 오염 없는 경춘고속도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차량에서 도로로 떨어진 휘발유 같은 기름성분이나 흙, 각종 쓰레기, 심지어 대기오염
물질
이 빗물에 섞인다. 기존의 교량은 이런 빗물을 모아 그대로 흘려보냈기 때문에 강을 오염시키기 일쑤였다.경춘고속도로 구간 가운데 한강 하류를 가로지르는 미사대교와 북한강을 가로지르는 서종대교에는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생선의 고소한 맛을 내는 성분은 지방이다. 그리고 계절별로 전어의 몸을 구성하는
물질
을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가을 전어의 지방 함량이 가장 높다는 것도 틀림없는 사실인 듯하다.봄 전어와 가을 전어의 주요 성분의 차이 (식용으로 쓰이는 부위의 100g 당 함유량)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전어의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같은 면역반응이 생기면 혈관을 싸고 있는 내피세포가 손상돼 혈관에 있던 혈액응고 촉진
물질
이 나와 혈액을 딱딱하게 굳혀 혈전을 만든다. 전문가들은 장기를 이식하면 이와 비슷한 이유 탓에 혈전이 생기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임상시험 규제 필요” 국제사회 한 목소리심장이나 신장, 간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