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칼리지
대
university
d라이브러리
"
대학교
"(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정지원 학생은 보통 학생들이 할 수 없는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을 즐거워했다. 실제로
대학교
동아리가 하는 것 이상의 활동을 한다.“저희는 스케일이 달라요. 납땜을 하는 게 아니라 용접을 하죠. 물론 용접처럼 위험한 작업은 선생님이 직접 하시지만 바로 옆에서 지켜보고 과정에 참여하는 ... ...
냄새 맡는 능력이 인류를 살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사라지고 호모 사피엔스가 번성한 이유가 냄새를 맡는 능력 때문이래요. 독일 튀빙겐
대학교
의 카테리나 하르바티 교수가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고성능 영상검색 기술로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 화석의 뇌 구조를 분석했어요.그 결과 호모 사피엔스는 네안데르탈인보다 언어와 기억, 사회적 ... ...
걷고 뛰던 물고기가 육상동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동물들의 걷기가 물고기로부터 시작됐대요. 미국 시카고
대학교
연구팀은 사람처럼 폐로도 호흡하는 아프리카 폐어가 사람처럼 걷는다는 소문을 들었어요.연구팀은 이를 확인하려고 폐어의 행동을 옆과 아래에서 촬영할 수 있는 특수 수조를 만들었지요. 그리고 여기에 폐어 중 하나인 프로톱테루스 ... ...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드릴게요. 우린 물속에서 사냥을 하다가 밖으로 나오는 시간이 항상 비슷해요. 일본 도쿄
대학교
연구팀은 우리가 얼마나 날개를 퍼덕였는지 판단해 물 밖으로 나온다는 사실을 밝혔어요. 날개로 헤엄치다 힘들 때 나온다는 얘기예요. 우리는 평균 5.7분, 날개를 237번 흔들고 나오거든요 ...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영국인을 대상으로 만든 지수라 한국인이 생각하는 행복과 다를 수 있다. 그래서 호서
대학교
산업심리학과 김명소 교수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행복하게 만드는 요인들에 대해 조사해 한국인 행복지수를 만들었다.(2006년)연구팀은 행복의 의미와 행복한 삶의 척도에 관한 설문을 3차례 진행해,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25주년 이끌 것한국연구재단 발표에 따르면 포스텍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은 109편이다.
대학교
에서 발표한 전체 SCI 논문 대비 상위 1% 논문 비중이 1.64%로 1.58%인 일본 도쿄대보다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주저자로 참여한 논문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도 포스텍 김기문 교수의 2000년 ... ...
산타수송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이어져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실제는 그렇지 않아요. 미국 미시간
대학교
의 마이클 플래너간과 마이클 시바크는 비행기와 자동차의 사고를 비교해 2003년 과학저널 ‘사이언티스트’에 발표했어요. 자동차는 사고가 덜 발생하는 시골 국도에서의 교통사고 발생 자료를, 비행기는 사고의 ... ...
독약도 소화시키는 점박이응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도와 지구 정복에 나서지 않을래?지금은 제 코가 석자예요. 연구팀의 리처드 클라크 유타
대학교
교수가 우리의 해독 유전자를 바꾸거나 비활성화시켜 우리가 먹는 걸 방해할 계획이라고 발표했거든요. 사람들이 제 식성을 괜히 분석한 게 아니었어요. 저를 없앨 궁리를 했던 거라고요. 지구 정복은 ... ...
하늘에서 만드는 대동여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똑같은 물체라도 보는 각도에 따라 전혀 다르게 보인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왼쪽 사진이 건물을 위에서 바라 본 모습이란 걸 한 눈에 알아 본 친구는 많지 않을 거예요. 건물 하나만이 아니라 주변 지형까지 한꺼번에 내려다 보면 어떤 모습일까요?비행선으로 하늘에서 유적지를 찍어 온 항공 사진 ... ...
1만 년 전 매머드가 살아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4톤에 달할 정도로 엄청나게 크지요. 러시아 사하공화국 매머드 박물관과 일본 킨키
대학교
연구팀은 시베리아에서 발견한 매머드 화석으로 복제를 시도했답니다. 연구팀은 화석에서 DNA를 추출해 코끼리의 난세포에 이식한 뒤, 암컷 코끼리 자궁 속에서 매머드를 키워 낼 계획이에요.연구팀은 DNA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