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2. 네이처·사이언스 권위에 금이 간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반대평이 지나친 혹평이었다고 밝혔다.2001년 7월 초 미국 실험생물학회연합(FASEB) 회의를
끝
으로 서교수는 세계적인 학자들과 나란히 어깨를 겨누게 됐다. 회의에서는 기존 이론과 서교수의 이론을 놓고 학자들 사이에서 열띤 논쟁이 벌어졌고, 학자들은 결국 새로운 이론에 손을 들어줬다. 99.9999%의 ... ...
소똥을 사랑한 복제동물의 아버지 황우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빼내야 복제 실험에 성공할 확률이 높다. 황 교수와 학생들은 거의 말도 하지 않는다. 다
끝
나고 나면 어느덧 점심 시간이 훌쩍 넘는다. 황 교수는 대개 9시쯤 학교를 떠나고, 12시를 넘어 잠자리에 든다.주말? 황 교수에게는 평일보다 더 바쁠 때다. 경기, 충북 등에 있는 농장들을 방문해 소와 ... ...
목소리는 제2의 주민등록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특징을 갖고 있을까.봄에 물기가 한껏 오른 버드나무 가지를 꺾은 뒤 껍질을 쏙 빼어서
끝
부분의 거친 부분을 깎아낸 후 불면 소리가 난다. 사람의 목소리도 버들피리의 울림과 같은 원리로 나온다. 버들피리에 입술을 대고 부는 곳이 사람의 ‘성대’에 해당하고, 긴 대롱이 ‘성도’에 해당한다. ... ...
2차대전 승리로 이끈 물수제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댐 바로 아래에서 터져 그 충격파로 댐을 무너뜨린다는 것입니다.월리스는 수많은 실험
끝
에 맥주통처럼 생긴 4t 무게의 폭탄을 고안해냈습니다. 그리고 폭격기가 18m의 높이로 저공비행을 하다가 댐 약 8백m 앞에서 투하해야 정확하게 댐 바로 밑에서 폭발하게 된다는 것도 계산해냈습니다. 월리스는 ... ...
블랙홀에 대한 결정적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연구결과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국제천문학자팀이 10년 동안 고생
끝
에 거둔 성과다.국제천문학자팀은 10년간 우리은하 중심부에 있는 S2라는 별을 관측했다. 전세계에서 가장 큰 광학망원경이자 대기의 효과를 없애는 적응광학이 적용된 망원경인 VLT의 활약이 가장 컸다. ... ...
말라리아의 게놈 청사진 발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더불어 부드러운 털이 있다꽃은 4~5월에 지름이 4~5cm의 두상화(頭狀花)로 피며 꽃대
끝
에 1개씩 달린다꽃색은 등홍색(橙紅色)이며 밤에는 오그라든다보통 가을에 씨를 부려 온실에서 월동한 후, 이른 봄에 화단에 옮겨 심는다P 디바이가 제창한 고체의 격자진동에 대한 모형 고체의 격자 비열에 대한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습도를 재는데, 탈지한 몇 개의 모발을 묶어 한
끝
을 고정시키고 다른
끝
을 대의 한
끝
에 연결시켜 신축성을 확대시켜 습도를 읽는다 액체 속에 모세관을 세우면 관내의 액면이 관 외부의 자유표면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현상 모관현상이라고도 한다액체의 분자와 관의 재료인 물질 분자의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충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1986년부터 1994년 최종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9년을 끌어온 논쟁은 승자도 패자도 없이
끝
나버렸다. 이 논쟁을 계기로 미국에서는 과학자의 행동을 합리적으로 규제하는 장치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NIH에는 자신들이 연구비를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과학연구윤리국’(ORI, Office of Research Integrity)을 ... ...
연구형 국제 경시대회 참가자와의 만남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각팀이 4개의 역할을 교대로 돌아가면서 수행해야 대회가
끝
난다. 우리나라는 올해 처음 참가했다.② 국제 환경탐구 올림피아드국제환경탐구 올림피아드는 유네스코가 13-19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환경과 관련한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작품을 공모해 시상하는 ... ...
참을 수 없는 호기심과 정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학계에서 멀어지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속에서도 연구를 계속해나가고, 10여년의 연구
끝
에 ‘틀렸다’는 결론 밖에 손에 쥐지 못해도 결코 포기하지 않는 과학자들의 과학에 대한 숭고한 애정을 느낄 수 있다. 또 과학자들의 정열적인 노력 속에 숨어있는 초조함과 절망 등 너무나 인간적인 모습도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