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과학동아 l2005년 07호
- 골라내기 쉽지 않다”고 말한다. 다른 방법은 유전자를 삽입하는 것. 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 박세필 소장팀은 파킨슨병에 걸린 쥐의 뇌에 도파민을 만드는 핵심 유전자 2개를 삽입한 배아줄기세포를 주사했다. 그 결과 파킨슨병 쥐가 계속 뱅뱅 도는 이상 행동을 보이는데 반해, 배아줄기세포를 넣은 ... ...
- 공학에 한번 빠져 봅시다과학동아 l2005년 07호
- 공학도 선배들은 젊고 성실한 인재가 공학을 전공했다면 앞날을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공학을 바로 알면 누구보다 더욱 즐겁고 풍요로운 인생을 얻을 수 있다고 귀띔한다 ... ...
- 이연희 교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진흥상 수상과학동아 l2005년 07호
- 생명공학과 이연희 교수가 6월 21일 로레알코리아와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제정한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진흥상’ 본상을 수상했다. 약진상은 울산대 의대 김영미 교수, 서울대 생명과학부 백성희 교수가 받았다. 공로상은 박기영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이 ... ...
- 레고 마인드스톰을 체험한다과학동아 l2005년 07호
- 과정은 공학자들이 실제로 로봇을 개발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앞으로 마인드스톰은 로봇공학의 기본 개념을 배우려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어릴 때부터 기계와 컴퓨터의 원리에 친숙해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 대회에 도전하는 한국 학생들내 손으로 만든 로봇을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 ...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제멋대로 흘러나와 오염되거나 사라진다. 이것이 양자역학적 한계다.서울대 재료공학부 황철성 교수는 “2015년 쯤 20nm 트랜지스터가 상용화될 것이며, 2020년까지는 지금의 플래시메모리가 계속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그 다음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세계 반도체 기업들은 벌써부터 ... ...
- 과학 다큐 시리즈 대명사 - 노바온라인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인류학, 재해, 지구, 탐험, 비행, 법의학, 건강, 역사, 자연, 물리와 수학, 우주, 기술공학 등 11가지 분야마다 수십가지의 주제를 가지고 다양한 과학 정보와 다큐멘터리를 제공한다. 웹사이트에 소개된 주제는 이미 다큐멘터리로 제작돼 방송된 프로그램으로 동영상을 보려면 별도로 비디오를 ...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십이지장충으로 알려진 구충에서 외과 수술용 혈액 희석제를 개발하려는 미국의 한 생명공학 업체를 소개하고 있다. 구충은 피를 빨아 먹기 위해 혈액 응고 단백질의 작용을 방해한다. 이 과정에서 구충이 분비하는 물질을 약으로 개발하려는 것이다.미국 아이오와대 조웰 웨인스탁 박사는 더 ...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과학동아 l2005년 06호
- 1971년 인텔이 최초로 마이크로프로세서 4004를 개발했을 때 여기에는 2300개의 트랜지스터가 들어있었다. 2000년 개발된 펜티엄4에는 약 4000만개가 들어있었다. 집적도가 무려 1만7000배가량 늘었다. 트랜지스터의 집적도가 2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을 적용하면 거의 맞아 떨어진다.그런데 마 ...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새로운 개발품들 때문에 이미 낡은 것이 돼 버렸다’고 논평한 것이다.여기서 플래시 공학은 플래시메모리 기술을 가리킨다. 플래시메모리는 전원이 끊겨도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기억소자로, 섬광(flash)처럼 빠르게 정보를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고 해서 얻은 이름이다. 노트북PC를 비롯해서 ... ...
- 인터넷 종량제 논란 어디로 가나과학동아 l2005년 06호
- 활용도가 떨어져 인터넷 산업과 문화가 퇴보할 것이 분명하다는 주장이다.상명대 컴퓨터공학과 배경율 교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고 과금체계로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지극히 수동적인 방식”이라고 말한다. 배 교수는 또 “사용량이 ... ...
이전391392393394395396397398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