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뉴스
"
과정
"(으)로 총 1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변 유래 순환 RNA 이용해 '전립선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뒤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해 나노 물질을 여과하고 순환 RNA를 농축 및 분리한다. 모든
과정
을 거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20분 이내다. 장비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환자로부터 얻은 시료 용량의 제한 없이 고농도의 순환 RNA를 분리할 수 있다. 연구팀은 89명의 전립선암 및 전립선비대증 환자를 ... ...
세계 첫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백신 경쟁에 모더나도 합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등의 제품보다 성능이 우수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약자를 위한 RSV 백신이 개발되는
과정
을 지켜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라며 "84%의 예방률은 엄청난 수치로 우리 제품이 최상위권에 들어가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 ...
호흡 속 가스 분석해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김상훈 박사
과정
연구원, 문영국 선임연구원, 정성용 교수. 고려대 제공 사람이 내쉬는 호흡 속 가스를 분석해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센서가 개발됐다. 고려대는 정성용 첨단소재부품개발연구소 교수 연구팀이 팔라듐 촉매가 첨가된 다공성의 산화주석을 이용해 대표적인 생체지표 가스 ... ...
[논문감시] 참여 연구자 모두 놓친 원자력의학원 실험 조작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암진료, 국가방사선비상진료관련 전문 인력 양성,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는 약개발
과정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방사선의학 연구기관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과학 개념 대신 수학적 논리와 과학의 문명적 가치를 가르쳐야 한다. 2009년 개정 교육
과정
에서 처음 도입되었던 ‘융합과학’에서 새로운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과학자들에게나 필요한 과학 개념만을 가르치는 대신 현대 과학이 제시해주는 우주관·자연관·생명관을 가르치는 것이 ... ...
버려지는 폐의류 플라스틱 원료로 재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화학 및 엔지니어링'에 발표됐다. 화학적 선별기술을 통한 폐합성섬유의 농축
과정
. 왼쪽부터 혼합 폐합성섬유, 선택적 탈염료화가 진행된 폐합성섬유, 그리고 화학적 선별에 의해 농축된 폴리에스터다. 화학연 제공 ... ...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 사업 수주 놓고 우주 업계 '잡음'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KAI 측은 “이번 사업 입찰에 확실히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어떤 방법으로
과정
상의 불합리함을 표할지에 대해서는 내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사업 수주를 놓고 KAI는 이전에도 이의제기를 한 적은 있지만 소송에 나선 적은 없다. 우주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다툼이 10년전 우주 사업을 ... ...
베일벗은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사고 가능성 100만분의 1"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제시할 예정"이라며 "i-SMR 규제준비단을 구성해 인허가 사전설계검토 및 규제 체계 마련
과정
에서 소통과 논의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i-SMR 규제 방안 마련에 대한 전문가들의 지적이 이어졌다. 정용훈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원안위 전문위원회를 적극 ... ...
"미중 무역갈등과 공급망 문제, 한국에 여전히 부정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학문이다. 정일영 미래혁신연구본부장은 "AI 및 로봇 기술을 이용해 합성생물학 전
과정
을 자동화하는 바이오파운드리를 통해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뛰어난 제조역량과 정보통신기술(ICT)을 보유하고 있어 합성생물학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생존한다는 것은 의학의 진리에 맞지 않았다. 그렇다 보니 과거의 발견은 모두 실험
과정
에서 발생한 세균의 오염으로 의심되었을 뿐이다.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새로운 발견을 얼마나 늦어지게 하는지는 잘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헬리코박터균. 위키피디아 제공 ● 노벨상을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