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과학동아 l1994년 04호
- 반응 전후의 입자들의 질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었는데, 반응 후의 질량을 측정한 결과 반응 전보다 1.86%에 해당하는 질량이 줄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결손된 질량을 E=${mC}^{2}$의 공식에 대입하면 1천7백34만 전자볼트가 나온다. 이 수치는 핵분열 후 증가한 에너지 1천7백33만 전자볼트와 거의 ... ...
- 뮤입자를 이용해 인체 내 미량원소를 측정과학동아 l1994년 04호
- 가을에 영국에서 뮤입자 전용가속기가 완성된다. 이미 인체에 분포하고 있는 칼슘양을 측정해 이와 관련된 병의 진단에 성공한 바 있다. 뮤입자 진단법이 실용화 되면 체내의 알루미늄과 알츠하이머병의 관계, 셀렌과 암과의 관계 등이 해명돼 새로운 치료법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
- 생물- 지표종 이용, 환경오염 정도 알 수 있다과학동아 l1994년 04호
- 1개 (A)의 DO를 바로 측정한다.③ 나머지 1개 (B)의 채집병을 20℃에서 5일간 보관한 후 DO를 측정한다.④ 채집병 (A)의 DO-채집병 (B)의 DO=BOD BOD 값이 높을 수록 호기성 세균이 산소를 많이 사용한 것이며, 이는 물에 유기물이 많음을 의미한다. 즉 오염이 심한 물이다 ...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과학동아 l1994년 03호
- 6년간 우주 공간에 머물다가 돌아왔는데, 이를 세계 각국에서 재배시켜 발아율 성장측정 개화 열매생산 등을 관찰하는 실험을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것은 바로 우주선(방사선)에 노출된 식물의 씨앗이 방사선에 의해 어떻게 성질이 변했는가를 보기 위한 실험으로, '식물 방사선 육종학의 우주판 ... ...
- 3. 1996년 2단 중형 로켓발사의 디딤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만들어 92년 6월부터 철저한 지상시험을 수행했다. 93년 초부터는 개발된 탑재전자장치와 측정기기를 앞부분에 장착해 지상진동시험을 실시했으며 심한 충격 등 극한환경에서 작동되는지도 검증했다.로켓은 고성능 화약이 타는 힘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성공적 연소는 매우 중요하다. 실제 발사 후에 ... ...
- 서해안철새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시간부족, 악천후 등으로 천수만과 금강하구의 데이터를 빼고는 분석을 위한 정확한 측정치가 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다른 탐사 프로그램이 한 지역을 중심으로 며칠간 머무르면서 진행된 것에 비해 짧은 시간에 많은 지역을 탐사함으로써 한 지역에 대한 꼼꼼한 조사에 미치지 못했다 ... ...
- 남북학자들이 공동연구할 그날은 언제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필자가 정년퇴직하기 전 미국의 지질학자들과 공동으로 동해안 암석의 지질연대를 측정하기 위해 작업중 찍은 것이다. 좌측에서 두번째는 스탠포드 대학의 잉글 교수이며 맨 오른쪽에 있는 이는 북 일리노이 대학의 교수다.오랜만에 이 사진을 들여보다 보니 왠지 답답해진다. 나와 같이 사진을 ...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장엄한 이중성으로 볼 수 있다. 육안으로도 볼 수 있다. 옛날 사람들은 이 별로 시력을 측정하기도 했다. 미자르는 망원경으로 발견된 최초의 이중성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1650년 사진으로 찍힌 최초의 이중성이며 분광기로 본 최초의 것이다.④ K(별) Pup(별자리) 4.5+4.6(광도) 9.9(분리각) ... ...
- 화학- 고대 4원소설에서 원자설 태어나기까지과학동아 l1994년 03호
- ${H}_{2}$O라는 것이 알려져서 산소의 원자량은 16으로 고쳐졌다. 그러나 돌턴의 원자 질량 측정은 이제가지의 원자의 존재에 대한 논의를 한 차원 높인 것이다. 그리고 돌턴의 원자설은 이 이후 물질의 본성과 물질의 변화를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됐다.주사위를 던지면 어떤 숫자가 나올지 ...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가로폭(대략 양쪽 눈썹의 끝 부분에 가까운 앞이마와 옆이마의 경계)인 전두최소폭의 측정치는 한국인쪽이 현저히 작다. 일본인이 98.39mm, 태국인이 98.60mm 인 데 비해 한국인은 95.50mm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이마 앞 부분이 좁은 점은 한국인 얼굴의 구성 요소 중에 매우 두드러진 특징이기 때문에 ... ...
이전3903913923933943953963973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