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의료진 모두 불만이 컸죠. 이에 동료 간호사와 함께 간호사 업무를 모두 나열하고 소요시간을 분석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정부 관계자에게 설명해 간호인력 충원이라는 결실을 얻어냈죠. 이 때 간호사 3교대 제도와, 근무별·특수파트별 간호감독 제도가 시작됐습니다. 그는 간호조무사의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상단의 QR코드로 동영상부터 보세요.첫 번째 질문선택받은 정자, 기다리는 난자?‘둥둥둥’ 배경음악이 빨라지며 정자가 물고기 떼처럼 헤엄칩니 ... 쥐의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기도 했고요(doi:10.1038/nature13975). 인간에게 사용되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우리 희망을 걸어볼까요 ...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독특한 영장류가 많이 존재한다.동물의 겨울잠은 그냥 잠과는 다르다. 잠은 충전의 시간이다. 음식을 먹지는 않지만, 낮에 사용할 에너지를 충전하는 신체 대사기능을 활발히 수행한다. 만약 잠을 자지 않으면 머리는 멍해지고 온 몸은 힘이 없어진다. 휴대전화로 치면 방전된 상태다.겨울잠은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내부에는 정훈과 함께 긴 시간을 살아 낸 하얀 눈썹의 유미가 틀어박혔다.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정훈과 유미는 데이터 속에서 충돌하지 않고 하나로 위치를 찾아가기 시작했다. 통합된 데이터로 정훈과 유미는 우주 저편을 향해 빠르게 전송되기 시작했다. 새롭게 태어난 그 인격은 초속 3억m의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q), 전압의 플럭스(Φ, 이하 플럭스)다. 전하는 흘러간 전류의 합을 의미하며, 플럭스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합을 의미한다(Φ=V·t). 이들이 두 개씩 짝지어 만들 수 있는 조합은 총 여섯 가지. 이 중 다섯 가지는 잘 알려진 관계다. 대표적으로 옴의 법칙(V=I·R)이 있다. 전압과 전류의 관계식으로, 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풀을 뽑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랍니다. 이후 시각을 가리키는 글자로 쓰이면서 ‘때, 시간’을 나타내게 된 거죠. ‘때 신(辰)’에 ‘손 수( )’가 붙은 ‘떨칠 진(振)’은 ‘손으로 풀을 마구 흔들어 뽑는 모습’을 나타낸답니다.‘움직일 동(動)’에는 ‘무거울 중(重)’과 ‘힘 력(力)’이 들어 ... ...
- 어기면 일어나는 비극, 해녀의 법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몸이 수압을 견뎌 내는 시간과 산소의 양을 감지해 수면까지 거리를 가늠하며 잠수 시간을 조절해야 한다.물질 기술에 따라 해녀는 상군, 중군, 하군 세 가지 집단으로 나뉜다. 30년 정도 물질을 해야 어장 지형과 암초 같은 지형물의 특성을 터득해 귀한 해산물도 발견하는 상군 해녀로 성장할 수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3화 탈출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걸 알게되면 큰일난다고. 저 환풍구 속에서 헤매다가 굶어죽기라도 해봐!” “이럴 시간에 빨리 찾는 게 낫겠다. 내가 이쪽에서 환풍구로 들어갈 테니까 넌 반대쪽 입구로 가서 그쪽부터 찾아봐.”“빨리 가. 대장한테는 말 안 할 테니까. 혼나기 전에 빨리 찾아내자고.”두 남자는 각자 부산하게 ... ...
- [과학뉴스] 한반도까지 날아온 아프리카 화산재 첫 관측과학동아 l2017년 03호
- 15~17km 상공에 분포하던 화산재는 2개월 뒤에는 10~19km 상공으로 확산됐다. 반면 농도는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감소했는데, 화산재 농도가 절반으로 감소하는 반감기는 117일 정도였다.노영민 교수는 “라이다 시스템으로 성층권 내 화산재를 관측할 수 있다는 걸 확인했다”며 “백두산 화산 폭발 등 ... ...
- [과학뉴스]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과학동아 l2017년 03호
- μs(마이크로초, 100만 분의 1초) 단위로 측정했다. 그 결과 탈금속반응이 수십 μs의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것을 알아냈다. 일반 용액(약 1mL)으로 실험한 결과에 비해 1000배 이상 빠른 속도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엽록체를 보호하고 광합성 효율을 조절하는 산화방지반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 ...
이전3903913923933943953963973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