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첨단과학에 이용되는 인공보석과학동아 l1993년 07호
- 편광자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벌크 결정을 사용한 광아이소레이터의 원리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편광자를 통과한 ${P}_{1}$이 직선 편광의 빛을 패러데이 소자에 의해 45도 편광면이 회전하면서 편광자 ${P}_{2}$를 통과한다. 반면 ${P}_{2}$를 통과한 반사광은 진행 방향이 반 평행되기 때문에 ...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과학동아 l1993년 07호
- 이 이동 법칙을 '시푀러의 법칙'이라 하며, 이 법칙을 도표로 나타낸 것을 '몬더의 나비형 그림'이라 한다(그림). 흑점은 남녀처럼 보통 한쌍을 이루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흑점이 태양의 북반구에 나타나면 반드시 적도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남북에 쌍을 이루고 나타난다.흑점의 수가 ... ...
- PC통신 공개자료실과학동아 l1993년 07호
- 지원하고, 화면상에서는 비트 맵 형식을 지원한다.예쁜 아이콘과 함께 외부에서 그린 그림을 본문에 불러 올 수 있고 자판 배열을 화면상에 나타낼 수도 있으며, 화면 상에 출력된 자판을 입력할 때도 바로 마우스로 해당 버튼을 누르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조판 기능은 머리말 꼬리말 목차 ... ...
- 물리- 왜 비행기에서는 안 생기고 우주선에서는 생기나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질량에 관계없이 같이 떨어지기 때문에 어느 것이 어느 것을 누를 수가 없는 것이다(그림1).따라서 줄이 끊어진 엘리베이터의 속에 있는 사람은 그 순간 중력이 없어진 것과 완전히 같은 상태, 즉 무중력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아무리 높은 건물에서 엘리베이터가 낙하한다고 해도 10초 이상 ... ...
- 생물- 3억개의 폐포 통해 몸 곳곳에 산소공급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코 기관 폐로 구성돼 있으며 기관은 두 가닥의 기관지로 나뉘어 좌우 폐로 들어간다(그림1).오른쪽 폐는 3개의 폐엽, 왼쪽은 2개의 폐엽으로 되어 있으며 가는 기관지의 끝에는 포도송이처럼 생긴 폐포가 있다. 폐포의 총수는 약 3억개에 달하며 각 폐포의 지름은 1백~2백㎛정도다. 그리고 폐포의 총 ... ...
- 정확한 초점, 선명한 사진과학동아 l1993년 06호
- 모두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보겠다. 이 렌즈는 여러분이 직접 제작할 수도 있다.(그림)에서 a에서 b까지의 길이는 각 카메라에서 렌즈를 떼고 T링를 끼운 상태에서 T링에서 카메라의 필름면까지의 거리다. 예를 들면 니콘 카메라의 경우는 53.95mm가 된다. 나사선은 T링에 나 있는 나사선과 ... ...
- 허공에서 북과 꽹과리치는 가상현실의 세계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섞이게 되는데, 이를 빠른 시간안에 자신의 얼굴로 짜맞추는 게임을 비롯, 프랙탈 원리를 그림으로 설명하는 '신비한 프랙탈' 등이 관람객들의 흥미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전시홀의 하이라이트는 가상현실감(virtual reality). 기존의 가상현심감이 머리에 헬멧을 쓰고 손에는 장갑을 쓰는 형태라면, 이 ...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과학동아 l1993년 06호
- 굴절하여 달이 그늘 속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측자에게 월식에 의한 달의 그림자는 불그스름하게 보인다. 빛과 밝기의의 관측에는 보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서 그 느낌이 다르겠지만 지구 대기안에 있는 미립자(微粒子)의 양에 따라서 빛과 밝기가 자꾸 변한다. 붉은 표면과 밝은 표면이 ... ...
- 메모리,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채택하고 리얼모드에서 운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한, 640kb이상의 메모리는 그림의 떡일 뿐인 것이다.물론 위에서 말한 램드라이브나, 캐시 등의 용도로 기본메모리 위의 영역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일찍부터 개발됐지만 메모리의 주된 용도는 워드프로세서니 데이터베이스니 하는 응용 ...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과학동아 l1993년 06호
- 것에 '난초'와 붓꽃'이 있다. 이 잘못은 전적으로 화투 때문이다. 왜냐하면 화투에 붓꽃 그림을 그려놓고 난초라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만든 일본에서는 분명히 아야메(붓꽃의 일본 이름)라고 하는데, 이것이 현해탄을 건너오면서 난초로 오역(誤譯)된 것 같다.우리나라 사람들은 옛날부터 ... ...
이전3903913923933943953963973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