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물론 현재는
태양
탐사선 율리시스 등이
태양
가까이로 탐사에 나서 달에 설치된
태양
풍측정기가 빛을 잃었지만, 당시만해도 훌륭한 데이터원으로서 각광을 받았다.아폴로 11호가 달착륙 후 맨먼저 설치한 기계는 레이저광선 반사경이었다. 직진성이 뛰어난 레이저광선을 달에 쏘아 그것이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별빛이
태양
을 스쳐 지나올 때에는 1°가량 휘어진다.앞에서 얘기했듯이 에딩턴박사팀은
태양
주위의 시공간이 휘어져 있음을 실제로 관측했는데 이는 중력과 기하학을 결부시킨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증명해주는 완벽한 증거가 되었다.칼루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시공간이 5차원이며 이 5차원 ... ...
모습드러낸
태양
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끝나갈 무렵에는 주변의 관광객들이 하나 둘 자리를 떠나고 기념촬영 등을 하고 있었다.
태양
이 제모습을 찾음에 따라 더운 열기가 더해가며 제4접촉(8시37분02초)을 마지막으로 완전히 개기일식이 끝났다. 우리나라 사람으로는 처음으로 개기일식을 비디오와 사진으로 촬영한 것에 자부심을 느끼고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짓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실험용. 모든 식량은 지구로부터 수송된다. 에너지원은
태양
광발전으로 시작하되 후기에는 3백kW 정도의 원자로를 계획중이다.다음으로 중요한 계획은 자원 채굴을 위한 플랜트 건설지역을 선정하는 일. 이를 위해서 여러대의 유인 무인의 월면차가 활동해야하고 로봇도 ... ...
더 밝은 물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급속히 아니면 천천히 형성되는지를 우리가 중요하게 여길 수 밖에 없음은 바로 그것이
태양
과 지구가 과연 탄생하느냐 마느냐와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만약 은하계들이 급속히 형성된다면 우린 여기 존재하는 것이고, 만약 천천히 형성된다면 우린 여기 존재하지 않을는지도 모른다.A few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수증기를 결집하게 되므로 지구는 항상 짙은 구름으로 덮이게 될 것이다. 그러면
태양
열을 차단하게 돼 기온이 낮아질 것이고 결국에는 빙하시대가 올 수도 있다.앞으로 달이나 화성을 점령하는 시기가 반드시 올 것이다. 지자장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장래에 우주여행을 하거나, 달과 화성을 점령해 ... ...
신소재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보기에는 보통의 금속과 구별이 되지 않으나 인장강도 내마모성 자기특성이 뛰어나
태양
전지 반도체 전극 등에 이용된다.④ 전선이 전류로 신호를 전하는 것과 같이 광섬유는 빛을 신호로 정보를 먼 곳까지 전송한다.(2) 궁금이는 93년에 있을 대전엑스포를 너무너무 고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ERBE(지구 복사에너지 측정기기)라는 특수한 인공위성 센서로 지구의 장파복사량을 측정,
태양
입사에너지량과 비교 검토했던 것이다. 그러나 ERBE센서의 불충분한 민감도와 위성의 한정된 수명으로 인해 ERBE에 의한 지구복사량 측정은 작년 12월을 기해 만료됐다. 그 대신 지금은 N0AA가 선보인 AVHRR ... ...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2천3백70Km로서, 이 값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로부터 구해진 명왕성의 밀도는
태양
계 천체중 가장 낮은 0.5~0.8g/㎤다.적외선 관측에 따르면 명왕성에는 열은 메탄(${CH}_{4}$)의 대기가 있으며 표면은 메탄의 얼음으로 덮여있다. 메탄의 얼음이 존재한다는 사실로 부터 우리는 명왕성의 ... ...
불볕 더위와 장마를 배후조종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고도 20km를 넘어 성층권에 진입하면 반대로 기온은 상승한다. 이곳에 위치한 오존층이
태양
으로부터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고도 50km에서 3℃ 정도로 극대에 달한 기온은 중간층에 들어서면서 다시 하강한다. 고도 80km에서 -93℃로 가장 낮은 온도를 기록한다. 대기의 온도는 열권에 들어서면서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