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공
서문
본업
프로
스페셜
소식
소문
d라이브러리
"
전문
"(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에도 유쾌한 운동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만화책이죠.”국내에서 수학퍼즐로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수학퍼즐
전문
가 박부성(34)씨는 수학퍼즐을 이렇게 정의했다. 눈을 위한 예술이 미술이고, 귀를 위한 예술이 음악이라면, 두뇌를 위한 예술은 수학이라는 것. 수학에 퍼즐의 재미를 더했으니 수학퍼즐은 두뇌의 만화책이라 부를 만하다고 ... ...
질병원인 밝혀줄 유전자 변이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결과 158만 개의 SNP(단일염기다형성)를 찾아내 SNP 지도를 최초로 작성했다고 2월 17일 과학
전문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SNP란 피부 및 머리카락 색깔, 체질, 질병 가능성 등 개인 및 인종의 유전적 특성을 나타나게 하는 부분으로 DNA의 0.1%에 해당한다. 2001년 인간게놈 프로젝트가 완성된 후 세계 ... ...
의학과 지질학의 만남, 메디컬 지질학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같은 학자들이 주도적으로 활동하고 있다.국제 메디컬 지질학 실무그룹은 국제연합(UN)
전문
기구인 유네스코(UNESCO) 주관으로 2000년부터 5년 간 추진되고 있는 국제 지질학대비 연구 프로젝트(IGCP)를 통해 중금속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밝혀내고 있다. 지난 2003년 말 호주 ... ...
숫자에 숨겨진 저글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모른다.실제로 저글링이 뇌 발달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지난 1월 과학
전문
지 ‘네이처’에는 유럽 연구자들이 21명의 여성과 3명의 남성으로 구성된 두 집단 중 한 집단은 세달 동안 공 3개로 적어도 1분 동안 저글링을 하도록 했고, 다른 집단은 저글링을 하지 않았을 때 뇌의 변화를 ... ...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어린이 이야기가 왜 세계적으로 등장하는가다.문학 - 콩쥐에 관한 진실1988년 과학
전문
지 ‘사이언스’에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킬만한 연구결과가 발표된 적이 있었다. 계부모에 의한 자식 살해 위험이 친부모보다 크게는 무려 70배 정도 높다는 것. 혹자는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인데 뭘 그리 ... ...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아울러 현재 교과서에 실려 있는 우리나라 산맥체계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학계와
전문
가 그리고 일반 국민 사이에 끊이지 않았다.논쟁의 핵심은 ‘기준을 땅밑 지질로 삼느냐 아니면 땅위 지형으로 삼느냐’하는 산맥의 개념 문제와 ‘특정 산맥이 존재하느냐 아니냐’하는 실체 문제였다.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클릭 회수만 4974회, 하루평균 541만7420건의 접속 회수를 가리키고 있었다. 한편 펍메드가
전문
가를 위한 서비스라면 ‘메드라인플러스’는 일반인에게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다. 도서관측은 매일매일 건강과 생활에 관한 최신 의학 정보를 알기 쉬운 용어로 풀이해 제공하고 있다.이처럼 펍메드의 ... ...
1. 진화 고속으로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2002년 영국 주간지 ‘옵서버’는 “인류는 진화의 정점에 도달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전문
가들의 의견을 보도했다. 영국 런던대 스티브 존스 교수를 비롯한 진화정체론자들은 더이상 인류의 다양한 형질 변화가 일어나지 못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문명이 발달하면서 유전적 우열에 관계없이 ... ...
한국교육에 나라 망치는 '음모'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청소년의 꿈이 정년보장인 나라는 희망이 없다.”한국 경제에 대해 신랄한 독설을 퍼부어 유명한 서울대 이면우 교수(60)를 만났다. 이야기 중에 그는 최근 학생 ... 보이지 않는 것을 추구하라. 빠른 현상에 집착하지 말고 느린 파문에 주시하라. 그러면 세계 최고의
전문
가가 될 수 있다 ... ...
손목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유 - 손목뼈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손허리뼈와 손목뼈 사이를 연결하는 관절들은 손가락을 움직이는데 도움을 준다.컴퓨터
전문
가들은 마우스증후군이 잘 생긴다. 컴퓨터 마우스를 오랫동안 쓰면 손목을 계속 손등 쪽으로 펴고 있어야 한다. 때문에 손목관절에 무리를 주게 돼 손목관절염이 잘 생긴다. 손목관절염이 생겼을 경우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