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의 중심에서 수학을 외치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일하고 있다.그런데 수학갤러리는 일반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아이작 뉴턴부터
시작
된 400년간의 수학사에 주목합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요. 첫째, 관람객들에게 지금 당장 와 닿을 수 있는 수학을 소개해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어요. 2000년 혹은 3000년 전의 이야기가 흥미로울 순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사람들만 집에 전화기를 둘 수 있었기 때문이야. 전화로 직접 국민의 의견을 듣기 위해
시작
했지만 결국 부유층의 의견만 반영된 거지.그러므로 내가 ‘큰 공주가 월요일에 깨어났다’는 정보를 들은 뒤에도 동전이 앞면이 나왔을 확률은 변함없이 1/2이어야 해. 공주가 내놓은 답인 1/3이 맞으려면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2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현수랑 기자(이하 현) : 네이버 오디오클립에서 ‘과학동아 사이톡(Sci-Talk)’ 서비스
시작
(32p).편 : 어디서 듣나.현 : 오디오클립 앱 설치 ⇨ 과학 ⇨ 과학동아 사이톡편 : 갑자기 이런 걸 왜?현 : 너님이 하라고 했잖아요(22).편 : (상처받지 않는다) 뭘 들을 수 있나.현 : 뉴스를 기자의 목소리로 낭독.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H 콘드라이트가 많고 LL 콘드라이트는 적다. 이는 LL 콘드라이트를 보낸 모천체에서
시작
된 연쇄 충돌이 현재는 끝난 반면, H 콘드라이트의 모천체가 일으킨 연쇄 충돌은 아직 진행 중이라는 뜻이다.태양계를 이해하는 창을 넓히다최 그룹장은 “과거 남극에서 빙하를 뚫어 얼음 속에 담긴 미소운석을 ... ...
[Culture] 유미의 연인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찾아가기
시작
했다. 통합된 데이터로 정훈과 유미는 우주 저편을 향해 빠르게 전송되기
시작
했다. 새롭게 태어난 그 인격은 초속 3억m의 속도를 타고 달리면서 중얼거렸다.“아마도…… 유미의 연인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함께 뉴로모픽 칩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면서 이런 멤리스터의 성질이 다시 재조명 받기
시작
했다.*배리스터: 두 개의 전극을 갖는 전자 부품. 두 단자 사이의 전압 차가 작으면 저항이 높지만, 전압 차가 커지면 저항이 작아진다. 전압에 따라 저항이 바뀌는 대표적인 비선형 소자다.뉴로모픽 칩의 ... ...
[포토 뉴스] 남극연구소는 이사 중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12월 31일 할리 식스의 첫 번째 모듈을 옮기며 본격적인 이사에 돌입했다. 2012년 운영을
시작
한 지 겨우 5년 만이다. 남쪽에서부터 얼음 균열이 매년 1.7km씩 올라와 기지와 7km 떨어진 곳까지 다가온 탓이다. BAS 운영팀은 새로운 거주지를 기존 사이트에서 23km 거리에 있는, 웨들 해와 이어진 브룬트 ... ...
[포커스 뉴스] 로봇 = 다른 인간 종?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것 같다”며 “그러나 결의안의 큰 취지에는 공감한다”고 말했다.한국도 관련 논의를
시작
했다. 2015년 9월 설립된 한국포스트휴먼학회는 인문학자, 법학자, 공학자가 모여 인간과 로봇, 인공지능이 공존할 미래사회에 대해 논의한다. 설립 후 1년간 토론한 내용을 모아 지난해 11월에는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시양산 시설 설립을 최근 정부에 제안했다. 김 부장은 “국내에서 MEMS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
한 것이 1990년대 초”라며 “드디어 때가 왔다”고 말했다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上 거인신이 남긴 선물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과학자와 공학자들은 기다렸다는 듯 의학과 항공우주 등 다방면에 티타늄을 적용하기
시작
했다. 초음속 항공기나 우주 발사체, 우주선 등은 가벼우면서 고열에 견딜 수 있는 강한 소재가 필수적이다. 티타늄은 밀도가 4.5g/㎤로 7.8g/㎤인 강철에 비해 낮으면서도 강도는 높다. 철보다 가벼우면서도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