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전체를 탐험할 수 있다”고 말하고 “우주와 우주의 기원을 이해하는 것이 설령 인간의
능력
을 넘어서는 일이라 해도 최소한 이해해 보려는 시도는 해야 한다”고 밝혔다. 비록 한계가 있더라도 시도하고 노력하는 일마저 포기할 수 없다는 그의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그의 이런 열정은 어디에서 ... ...
만약 30억개 염기쌍이 흩어져 있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수 있다.질산은 손(결합팔)이 하나밖에 없으니까 당과 결합하고 나면 더이상 결합을 만들
능력
이 없다. 그런데 인산은 손이 3개나 되기 때문에 둘은 양쪽의 당과 손을 잡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로 산의 성질을 나타낸다. 그래서 DNA는 RNA와 함께 핵산이라고 불리는 것이다.최초의 생명체가 나타나는 ... ...
Ⅱ. 드라큘라는 왜 보름달에만 출현하나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예를 들면 고대 앗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이야기에 따르면 여성은 달에 따라 수태
능력
이 커진다고 한다. 그래서 서양에서는 아이를 갖기 위해 으슥한 들판에서 보름달빛을 받으며 남녀가 방사하는 일도 있었다. 교육을 많이 받은 현대 서양인들 사이에도 보름달에 신생아들이 많이 태어난다는 ... ...
2. 극한 조건 실험 대행 핵폭발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올 12월까지 설치될 IBM POWER3+ SMP는 2천48개의 프로세서를 통해 초당 3조회 이상의 연산
능력
을 갖추고 대규모 고에너지 및 핵물리 계측연구,데이터 분석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한편 슈퍼컴퓨터는 인간으로 치면 두뇌를 1개가 아닌 여러개, 경우에 따라서 1천개까지 갖고 있다. 그래서 ... ...
청자색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50년이 안된 레이저는 생활 곳곳에서 자신의
능력
을 발휘하고 있다.그런데 요즘 레이저의 2세대격인 청자색 반도체 레이저가 등장해 자신의 존재를 더욱 과시하고 있다.적색으로만 알려진 레이저가 청자색을 띤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레이저라고 하면 사람들은 흔히 SF 영화에 등장하는 레이저 ... ...
컴퓨터 혁명 몰고 올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기존의 컴퓨터가 반복적인 과정으로 한참동안 처리해야할 문제를 단번에 풀어내는
능력
을 발휘했다.IBM의 연구책임자 아이작 추앙은 “2020년 쯤이면 반도체의 처리속도와 저장용량이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이 끝나고 양자컴퓨터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자컴퓨터가 ... ...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이용해 천문학적 모델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1초에 1천억번을 계산할 수 있는 연산
능력
과 1백GB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또한 생성된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2.4TB의 디스크와 1백50TB의 테이프가 요구된다. 이 일은 슈퍼컴퓨터가 아니고서는 도저히 처리할 수 없다.이렇게 슈퍼컴퓨터는 방대한 ... ...
에릭슨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팔았고, 러시아와 폴란드 등 여러나라에 자회사를 설립했다.고된 육체작업과 정신적
능력
발휘에 뛰어났던 에릭슨은 1901년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일이란 남과 경쟁하는 가운데서도 즐거워야만 하네.”활대신 전화로 사랑을 엮는 큐피드에릭슨의 1999년도 매출액은 2백15억 달러.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경고에 직면하고 있다.지난 8월 9일 서울대 황우석교수(수의대)는 ‘체세포를 이용한 고
능력
젖소의 복제생산’에 대한 연구 발표회에서 “36세의 한국인 남성의 귀에서 채취한 체세포를 이용한 복제실험을 통해 배반포 단계까지 배양하는 데 성공, 이 기술을 6월30일 미국 등 세계 15개국에 ... ...
1. 시간과의 끝없는 전쟁 기상예측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간의 기상상태를 컴퓨터로 예측하는데 불과 몇십분이 안 걸리는 정도다. 이와 함께 예측
능력
도 개선됐다. 보통 예측기간이 길수록 예측정확도가 떨어진다. 현재 대기 중층의 기류에 대한 72시간 후의 예측정확도는 15년전 36시간 후의 예측정확도에 근접할 만큼 향상됐다.지구대기는 가상공간 속에서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