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각도가 0°에서 90°로 커질수록 값이 0에 가까워져요. 따라서 동작이 딱 맞아 떨어질수록
1
에 가까운 값이 나오죠. 그런데 한 부위만 비교해서는 전체적인 자세의 유사도를 측정할 수 없어요. 그래서 여러 부위에서 코사인값을 구한 뒤 평균을 구해서 트레이너와 내 자세가 얼마나 유사한지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주는 느낌의 정도를
1
점부터 7점까지 표시하도록 했습니다. 예를 들어 매우 새로우면
1
점, 보통이면 4점, 매우 익숙하면 7점입니다. 동시에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도 표시하게 했죠. 그다음 ‘회귀분석’을 이용해 캐릭터의 선호도에 비례해 증가하는 요소를 알아봤습니다. 회귀분석은 둘 이상의 변수 ... ...
[퍼즐라이프] 풀면 갇히고 꼬면 빠진다! 클로버 퍼즐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쉽게 분리할 수 있겠죠. 하지만 문제는 끈을 이렇게 만들 수 없다는 겁니다. 그림①-
1
에서 철사와 끈을 쭉 펴면 오른쪽 그림②처럼 교차점이 없는 ‘영 매듭’이 됩니다. 하지만 클로버 퍼즐은 그림③과 같은 ‘세 잎 매듭’이기 때문에 아무리 변형시켜도 영 매듭으로 만들 수 없죠.그런데 이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의 중요성,
1
00번 강조하는 대신 책
1
권 추천!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세대를 뛰어넘는 7인과 교감하며 나눈 아홉 번의 세미나를 생생하게 옮긴 책입니다. “
1
0차원 공간은 무슨 뜻인가요? 좌표축이 열 개나 된다는 의미인가요?” 같이 우리가 궁금해할 질문에 대한 김민형 교수님의 답변을 천천히 이해하며 왜 수학이 다시 필요한지 공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렇게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속도를 예측한 결과 2035년 9월 북극 바다에서 해빙을 볼 수 없을 거라는 결과도 내놨다. 2
1
세기 중반이라는 NASA의 예측보다 최소
1
5년 이상 앞당겨진 예상치다. 북극은 지구의 기후를 조절하는 버튼으로 여겨진다. 지구온난화로 북극 버튼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북극 지역의 제트기류가 약해지고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식물플랑크톤 하나의 크기는 수μm(마이크로미터·
1
μm는
1
00만분의
1
m)에서 수mm로 매우 작은 데다가,
1
400만km2에 이르는 남극 대륙 전체를 둘러싼 바다의 면적도 어마어마하게 넓기 때문이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가 식물플랑크톤을 우주에서 바라보는 이유다. 우리 연구팀은 ... ...
[한페이지 뉴스]털코뿔소 멸종은 인간 아닌 ‘이것’ 때문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흔적도 발견됐다. 이 돌연변이로 빙하기의 추위에도 적응할 수 있었다. 하지만
1
만4700~
1
만2700년 전 지구에 기온이 급격히 상승하는 ‘뵐링-얼러뢰드 온난기’가 닥치자 이것이 오히려 독이 됐다.연구팀은 털코뿔소가 시베리아 북동부 기후에 특화된 탓에 기온 상승에는 적응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모기 기피제 효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올해는 7월 23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됐습니다. 이는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
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일 때에 해당됩니다. 다행히 올해 일본뇌염 환자는 아직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8월
1
7일 기준). 다음으로 위험한 종은 말라리아를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입자 배열은 그대로이면서도 입자의 이동 속도는 급격하게 느려져 결과적으로 점도가
1
조 배가량 증가한다. 마치 무질서한 액체 상태가 제자리에서 급속 냉동된 것처럼 보여, 이를 화학적으로는 과냉각 상태라고도 한다.다만 우리가 알고 있는 건 여기까지다. 왜 입자 운동이 느려지는지 아직 알지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8일자에 발표했다. doi:
1
0.
11
26/sciadv.abb289
1
스트레스는 현대인의 적으로 불릴 만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평소에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면 면역 시스템을 저하하고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은 자신의 스트레스 수치를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