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 4화 엄마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왜 마고는 아빠를 영웅이라고….”“더 들어봐. 너희 아빠는 엔지니어라는 지위를 이용해 엔진실로 폭탄을 갖고 들어갔어. 그런데 그때 컴퓨터공학자인 너희 엄마가 마고를 교란하려고 해킹을 시도하다가 흥미로운 사실을 알아냈어. 바로 마고가 우주선의 속도를 줄이지 않고 있다는 거였지 ...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합이 모두 15예요.이 마방진에는 재미있는 특징이 있어요. 가로줄에 적힌 숫자를 이용해 새로운 비이행성 주사위를 만들 수 있다는 거예요. 먼저 첫 번째 줄의 8, 1, 6을 정육면체 주사위 면에 써요. 숫자는 3개인데, 면은 6개니 같은 숫자를 2번씩 마주보게 써야겠지요. 이어서 3, 5, 7과 4, 9, 2로 이뤄진 ... ...
- [과학뉴스] 사하라 사막, 과거에는 열대 초원이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양을 분석했어요. 이를 위해 연구팀은 사하라 사막 근처 해안에서 가져온 해양퇴적물을 이용했어요. 해양퇴적물에는 사하라 사막에 살던 식물의 잎에 들어 있던 왁스 성분이 보존돼 있었지요.왁스는 식물의 잎에서 물의 증발을 막는 역할을 해요. 그래서 식물이 자라는 곳의 기후가 얼마나 건조한지, ... ...
- Part 3. 해저 광구 탐사, 무인잠수정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2월 약 5000m 수심에서 성능 검증을 마쳤어요. 크랩스터는 기존의 ROV와 달리, 다리 관절을 이용해 게처럼 기어다니거나 헤엄칠 수 있어요. 그래서 해류가 강한 환경에서도 쓰러지지 않고 탐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요.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진 똑똑한 자율무인잠수정(AUV)도 탄생할 거예요. ... ...
- [도전! 코드마스터] SW와 함께하는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돕는 것 역시 독자 여러분, 즉 사람의 몫이지요.수호와 수정이, 한결이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악의 무리로부터 세상을 지켜냈어요. 이때 서로를 믿는 정의로운 마음이 가장큰 힘으로 작용했지요. 어쩌면 그것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어떻게 맞을 것인지에 대한 답은 아닐까요 ... ...
- [과학뉴스] DNA로 만든 다이아몬드 구조 광결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연구진이 DNA를 이용해 나노입자들이 스스로 광결정을 만들게 하는 방법을 찾았다. 광결정은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는 재료로 고효율 광소자를 만드는 데 쓰인다. 이기라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서로 짝을 이루는 유전자 정보를 갖는 DNA를 나노입자에 붙이고, 이것들이 짝을 ... ...
- [과학뉴스] 인공지능 로봇 플리피, 햄버거 가게 취업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인식하고 부딪히지 않도록 팔을 움직인다.미소로보틱스 사는 플리피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학습을 통해 마치 전문 요리사들처럼 채소를 얇게 썰어서 올리거나 접시에 음식을 먹음직스럽게 담아내는 역할까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
- [과학뉴스] 콧물로 간편하게 바이러스 감염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듀크대 응용유전학정밀의학센터 제프리 긴즈버그 박사팀은 콧물 속의 특정 단백질을 이용하면, 감염된 바이러스의 종류를 알아낼 수 있다고 ‘e바이오메디슨’ 2월 2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임의로 선택한 단백질 438개, 펩타이드 3285개의 데이터와 H3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독감에 걸린 환자, ... ...
- [포커스 뉴스] 손톱만한 USB에 세상의 모든 영화를 담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측정하면 홀뮴 원자의 스핀 방향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특징을 이용해 홀뮴에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는 데 성공했다.최태영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연구위원은 “두 개의 홀뮴 원자가 만드는 자기장의 영향은 철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데 그 차이를 모두 신호로 확인했다”며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무뎌지면 다시 가장 자리를 충격으로 쪼개 다듬어 사용할 수 있다. 조상들은 이 재료를 이용해 칼과 화살촉, 창날, 돌도끼, 송곳, 못, 긁개 등을 만들었고, 수렵채집 활동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인류가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도구를 만드는 데 필요한 소재 거래가 시작됐다. 폴란드와 벨기에 등 ... ...
이전3883893903913923933943953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