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를 바꾼 아인슈타인의 논문3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아인슈타인 이전에 빛을 입자와 비슷한 에너지 덩어리(양자)로
본
사람이 있었다. 독일의 물리학자 플랑크(1858-1947)였다. 그는 1900년 빛이 진동수에 비례하는 에너지 덩어리로 방출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양자물리학의 세계를 처음으로 연 그의 연구는 아인슈타인이 ... ...
2. 사주와 주역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시련이라 할 수 있는 18년간의 유배생활을 하고 있었으면서도 단 한번의 주역 점도 쳐
본
일이 없다고 하는 사실은 이러한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산의 말에 따르면 주역은 오직 성인(聖人)이 하늘의 명(命)을 물어 그 뜻을 따르기 위해 만든 것이라 한다. 그리고 이것은 그 성패와 화복이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1987년 시카고 대학에서 발행된 여론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67%가 ESP를 경험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년 전의 같은 조사에서 58%이었던 수치가 상승한 것은 갈수록 많은 사람들이 ESP의 가능성을 수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초심리학자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생에 ... ...
세계인구 반 이상이 심령 현상 경험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이 사실로 입증된다면 오늘날 과학이 자연의
본
질과 인간의 능력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지극히 불완전한 것일 수밖에 없다. 모든 과학의 법칙이 재검토 되어야 하며 우리의 세계관 역시 수정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초심리학을 비롯한 ... ...
전자잉크, 전자책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장점은 주어지는 전기 신호에 따라 인쇄물의 내용이 항상 새로워 질 수 있다는 것. 한번
본
책인데도 다음에 다시 볼 때는 또다른 내용으로 둔갑할 수 있다. 이는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문서를 읽는 전자 서적의 개념과는 완전히 다른 신개념 출판 및 광고매체의 등장을 의미한다.아직은 연구차원에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영향으로 가장자리의 화질이 불량해지게 되는데, 보통의 TV에서는 이 부분을 잘라내어 기
본
적으로 8-10%정도를 희생시키고 영상을 만든다.그러나 신호처리 기술의 발달로 이 부분을 살려 5% 정도를 더 볼 수 있게 만든 것이 1인치가 더 보이는 TV이다. 컴퓨터 모니터와 달리 영화, 드라마 등을 위주로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구분해내는 것에는 인식오율이 크게 차이 난다.미래 신분증 유전자생체인식시스템의 기
본
가정인 '모든 사람들은 다르다'는 유전자의 특성을 전제로 한 것이다. 똑같은 유전자를 갖는다는 쌍둥이조차도 지문과 홍채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봐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유전자의 어느 부분이 다름을 ... ...
변화무쌍한 얼굴색의 정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파괴시켜 백인(?)으로 변신하는 방법을 택한 것이다.햇볕 쬐려는 몸부림이웃 일
본
의 청소년들은 백인의 하얀 피부와 금발을 동경한다. 또 젊은이들 사이에서 건강한 피부색을 만들기 위해 선탠이 유행하고 있다. 이런 일들은 과학적으로 바람직할까.결론부터 얘기하면 “아니오”다. 전부터 우스개 ... ...
② 수소 발견 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역학적 불안정성 문제는 덴마크의 물리학자 보어가 해결했다. 보어는 수소원자를
본
격적으로 연구해, 그 구조를 밝힌 첫번째 인물이었다. 보어는 1912년 3월 맨체스터의 러더포드 아래서 공부하면서 다윈(찰스 다윈의 손자)의 알파 입자 실험에 관한 분석을 접하게 됐다. 그는 수소원자가 핵 주위에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말썽이 된 적이 있다. 맹독성의 물질로 알려진 수산화나트륨으로 불고기 판을 씻는 것을
본
소비자들이 놀란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서양에서 들여온 양잿물을 묽게 만들어서 불고기 판에 붙어있는 찌꺼기를 씻어내는 것은 잿물을 세제로 사용하던 우리 선조의 지혜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즉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