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꽃가루의 변신 2] 캡슐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우리의 튼튼한 외막은 캡슐로도 활용될 수 있어.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 전달체나 바이오센서 등에 쓰이는 마이크로캡슐을 대체할 수 있거든! 꽃가루, 마이크로캡슐로 변신!사람들이 먹는 영양제나 약물, 살충제 등은 지름이 수 ㎛(마이크로미터)인 마이크로캡슐에 싸여 있어. 약물이 쉽게 증발 ... ...
- [꽃가루의 변신 3] 종이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제안했지요. Q 왜 분석하려고 하셨나요?꽃가루는 외막을 이루는 물질이 워낙 단단해 과학자들도 지금까지는 그 단단한 성질만 활용하려고 해 왔어요. 그런데 그 물질의 단단함은 그대로 지닌채 유연성까지 얻으면 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죠. 그래서 가장 먼저 현미경으로 ... ...
- 변신의 달인, 장난감 한계를 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친구들, 안녕! 이제 곧 5월 5일, 너희들이 가장 기다렸던 어린이날이야. 친구들은 어린이날에 가~장 받고 싶은 선물이 뭐야? 아무래도 나 같은 ‘장난감’이겠지? 근데 이제 장난감은 단순한 놀이 용품이 아니야. 아직도 그렇게 생각하는 친구들이 있다면 이번 기사를 보고 생각이 바뀔 거야. 그게 ...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비교해 저화질의 이미지 중 산호를 식별하고 분류하는 게임이에요. 인공지능이 시민과학자의 도움을 받아 산호를 식별하는 훈련을 반복하면, 훗날 위성 등이 찍은 저화질의 이미지를 보고도 산호를 식별할 수 있을 거예요. 연구팀은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모든 이미지에서 산호를 분류하는 것을 ... ...
- 섭섭박사에게 도전장이 날아왔다! 코딩로봇 ‘지니봇’으로 한 판 승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섭섭박사님께 볼링 대결을 신청합니다!”웬 로봇을 주며 섭섭박사님께 도전장을 던진 사람은 다름 아닌 지니로봇 이은승 대표. 그리하여 펼쳐진 지니봇 vs 지니봇의 한 판 승부! 메이커 달인 섭섭박사님과 지니봇의 개발자 이은승 대표의 대결, 과연 그 결말은? 지니봇, 네 정체가 뭐니?“ ...
- [한 장의 과학] 세상에서 가장 세밀한 원자 3D 증명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백금 나노입자를 원자 수준으로 촬영한 거예요. 공 하나가 원자 하나지요. 지난 3일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박정원 연구위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물질을 원자 수준에서 3차원으로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물질의 원자 구조를 0.02nm까지 관찰할 수 있는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태풍 예보 정확도 높인다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연구원팀이 태풍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대기과학의 발전’ 7월 27일자에 발표했습니다.태풍을 예보할 때는 기온과 기압, 습도 등 기상변수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주로 사용합니다. 1822년 프랑스의 공학자 클로드 나비에와 영국의 ...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부르는 이 시민과학프로젝트는 2014년에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NASA의 시민과학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프로젝트죠. 원반 찾기의 기준은 ‘원’NASA 연구팀은 원시행성계 원반을 찾기 위해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관측할 수 있는 모든 하늘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원시행성계 ... ...
- [이달의 수학자] 한국이 제2의 고향이라는 필즈상 수상자, 예핌 젤마노프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시카고대학교와 예일대학교,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등으로 자리를 옮겼지만 고등과학원 교수직은 줄곧 유지하고 있습니다. 매년 한국을 방문해 한국의 젊은 수학자와 함께 연구하면서 한국 수학 발전에 힘을 쏟고 있죠.20년 이상 한국과 인연을 이어오고 있는 젤마노프 교수는 과거 ...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데이터를 보내며 극지를 지켜보고 있다. 혜민 스님은 멈추면 비로소 보인다고 했다. 과학은 거리는 물론 시간적으로도 멀리서 볼 수 있게 해 준다. 숲도, 산도, 사막도, 극지도, 그리고 우리들의 삶도. 멀리서 보면 비로소 보인다 ... ...
이전3883893903913923933943953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