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진부하다. 튜브는 사회 권력층에 대한 비판이라는 주제 의식을 보여주는 듯하지만,
결국
테러범 강기택과 그를 쫓는 말단 경찰 장도준의 대결 구도와 갈등으로 치닫고 만다. 정작 튜브라는 영화에 생명력을 불어넣은 이들은 단역으로 등장한 배우들이다. 그들은 할리우드 재난영화의 공식을 ... ...
인공지능학자 커츠와일 '매트릭스 실현가능성 높다' 예측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작동하지만, 1천개의 연결구조에 1천억개 뉴런을 곱하면 1백조의 병렬계산이 가능하다.
결국
인간의 뇌는 초당 20경의 계산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커츠와일은 2020년이면 컴퓨터가 이 정도의 계산 능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나아가 2050년이면 1백20만원짜리 PC가 인간의 뇌보다 10억배나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물질을 통과한 빛을 분석하면 분자에 흡수된 특정 파장대 빛의 에너지가 줄어들어 있다.
결국
분자가 많이 존재할수록 빛이 흡수되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각 성분의 농도는 흡광도(absorbance)에 비례한다’는 비어-램버트의 법칙(Beer-Lambert’s law)에 따라 특정 성분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복잡한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이런 요소들은 궁극적으로 유전자 소멸과 새로운 유전자의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
결국
변형된 유전체는 세대를 거쳐 전달되며, 수백만년이 지난 지금도 살아있는 화석으로 남아있다. 그러므로 지금 살고 있는 생물의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면 수백만년 전에 살았던 생물의 역사를 알 수 있다.최근에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도시나 공장으로 보낸다. 이를 활용하면 냉난방시스템에 필요한 에너지 양을 줄여
결국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준다.현재 우리 주변에는 활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에너지가 여럿 있다. 도시지역 내에서 생활·업무·생산활동을 위해 투입된 에너지가 유효하게 회수돼 이용되지 않고 환경으로 배출된다. ... ...
인간의 협력관계 설명하는 물리학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존재하는 인간 사회나 동물의 세계에서 협력이 이뤄지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기심이
결국
자신을 망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일까. 잠깐 생각해보면 이것은 답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배반자가 되고자 하는 유혹은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어떻게 이기적인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그런데 이들의 2/3 이상이 하나라도 없으면 효모의 생존에 치명적인 결과를 준다.
결국
우리는 ‘효모의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서 많은 연결선 수를 가지고 핵심 역할을 하는 허브 단백질들이 개체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력은 연결고리가 몇개에 불과한 대부분의 단백질에 비해 3배 이상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우리나라에는 과학자의 길을 접고 두 문화의 중간영역을 고심하는 한 대학생이 있었다.
결국
그가 선택한 길은 과학사·과학철학 분야.과학사·과학철학은 오늘날 더욱 심하게 분열된 과학과 인문학의 중간쯤에 위치한다. 때문에 그 학생은 이후 상이한 두 문화를 맛보는 재미를 느꼈지만 동시에 ... ...
최초의 여성 우주비행사 등장 40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것이다. 1980년대 초 우주왕복선의 우주비행사를 공개 모집하자 8천여명 지원자가 몰렸고
결국
35명이 선발됐는데, 이들 중 6명이 여성이었다. 비밀리에 선발됐던 20여년 전과는 완전히 다른 상황이었다.미국이 여성 우주비행사를 선발하자 옛소련도 이에 질세라 다시 여성 우주비행사를 훈련시키기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날(청천일수)이 80여일에 지나지 않지만 이곳은 모두 2백50-3백일의 청천일수를 보인다.
결국
북반구와 남반구에 각각 3대씩 설치되고 나면 총 6대의 탐사망원경이 국제네트워크를 구성해 언제나 밤하늘을 감시·관측하는 것이다. 별이 지지 않는 천문대라고 할까.이 프로젝트에 동원되는 망원경에는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