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월호 참사, 무게중심 흔들어버린 人災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반대로 물속에 녹아있던 산소가 공기 중으로 올라온다면 사람이 계속 숨을 쉴 수 있는 조건이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 우만스키 박사의 질문에 세계 각지의 과학자 12명이 각자의 방식으로 계산한 식을 올렸다.가장 정교하게 계산한 사람은 영국 에딘버러대 체이피터슨 박사다. 기체의 농도변화와 ...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제거된다! 급팽창 모델을 구별하는 중요한 값들이 있는데 n, r, α가 대표적이다. 자세한 건 뒤에서 고민하고, 여기서는 바이셉2가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해서 그 값들을 구했다는 점만 짚고 넘어가자. 바이셉2의 결론은 n=0.96, r=0.2, α=-0.028이다.지금까지 표준 모델을 토대로 만든 대부분의 급팽창 모델은 ...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하는 곳이거든요. 소프트로봇이라면 외과 수술실에서 장기를 집어 들어 의사에게 건네주는 것도 가능하죠. 소프트로봇이 유기체에 가까워질수록 우리 일상에 깊이 파고들 겁니다.”실제로 그가 개발한 불가사리 로봇은 계란과 살아있는 쥐를 잡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런 유연함으로 복잡한 지형을 ... ...
- 생활 속 고민거리, 통계로 풀어 보세요!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많았다. 수상작들을 참고해 올해 대회에서 나만의 통계포스터 만들기에 도전해 보는 건 어떨까?2013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중등부 대상〈화장실에 관한 간단한 고찰〉충북 성화중 지선화, 남혜린, 안윤정(지도교사 김정미)학교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지만 가장 더러운 곳은 어디일까? 정답은 ... ...
- 작년 수입된 GMO양, ‘역대 최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차지하는 카놀라의 수입량만이 늘었다. 시험·연구 목적 GMO는 총 1249건으로 2012년 234건보다 433% 급증했다.세계적으로는 지난해 유전자변형작물 재배 면적이 2012년보다 약 3% 늘었다. 한반도 전체 면적의 8배에 달하는 1억7530만ha(헥타르·1ha는 1만 m²)에 재배되고 있으며, 이는 세계 농지 면적의 12.6% ...
- 티라노사우루스도 노아의 방주에 탔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등등. 설명이랍시고 달아 놓았지만, 엉터리입니다. 성경 속 이야기를 무리하게 실제 사건으로 만들려다보니 모순에 빠져 버린 거지요. 그냥 신화로 보고 그게 상징하는 바나 교훈 이야기만 하면 괜찮았을텐데요. 영화도 그냥 영화로 보고 말이죠 ...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나이가 들어서도 꾸준히 공부하고 노력할 각오해야 할 걸? 전기공학과 전자공학이 다른 건가요?전기공학은 발전소처럼 높은 전압으로 전기에너지를 보내는 것, 전자공학은 반도체처럼 낮은 전압에서 전자의 이동을 연구하지. 하지만 두 분야는 대학에서 통합해 공부하는 추세야.전기과에 가면 ... ...
- 4회 K의 은신처를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분명한 단서를 찾지는 못했지만, 이 사람 결벽증일 만큼 꼼꼼하고 깔끔한 사람인 건 분명해요. 박 형사님도 무척 깔끔하신데, K도 보통이 아니네요!”소마의 말이 끝나기도 전, 박 형사가 바로 말을 이었다.“앗! 반…, 반장님! 저기 좀 보세요. 현관문 밖에 웬 봉투가 있는데요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얼음왕국에서 피겨 요정되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2월 7일부터 23일까지 러시아 소치에서 열리는 겨울 축제, 동계 올림픽! 그 중에서도 특히 주목을 받고 있는 종목은? 맞아요. 바로 피겨스케이팅! 보기에는 멋지지만 실제로 김연아 ... 어울린다”고 말했어요. 이번 겨울이 끝나기 전에 모두 함께 은반 위의 요정이 되어 보는 건 어떨까요 ... ...
- 수학 문제 증명했더니 그 크기가 무려 13GB?수학동아 l2014년 04호
- 2라고 말할 수 있죠.그렇다면 이번에 증명하신 내용이 에르도스 불일치 문제를 풀어낸 건가요?정확히 완벽한 증명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불일치 값이 2가 되는 수열의 항의 개수가 최대 1161개 라는 것을 밝혀낸 것뿐이니까요. 그래도 에르도스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는 제공했다고 ... ...
이전3883893903913923933943953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