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6,007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마술의 극치, 인체부양술
과학동아
l
199704
마술가들의 이야기가 자주 등장하고 있다. 이런 것들을 종합해 볼 때 마술의 시초는
인간
의 탄생과 함께였다고 말해도 큰 무리는 아닐 것이다.수많은 마술 가운데서 특히 사람을 허공에 띄우는 인체부양술의 최초 진원지는 인도로 알려져 있다. 인도에 전설로 내려오는 마술 한토막을 살펴보자 ... ...
동성애 운명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704
아퀴나스(1225-74)이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와 마찬가지로 동성애가 하느님뿐만 아니라
인간
의 관점에서도 부자연스러운 죄악임을 강조했다. 그의 영향력은 대단해서 14세기부터 동성애자들은 서방의 교회와 국가 어디에서도 피난처를 찾을 수 없게 되었다.16세기 초 영국의 헨리 8세는 남색을 사형의 ... ...
인간
복제 할 것인가 말 것인가
과학동아
l
199704
http://www.nature.com/Nature2/serve?SID&CAT=NatGen&PG=sheep/sheep3.html)지에 실린 날이기 때문이다. 그 후 '
인간
복제'에 대한 가능성과 타당성, 윤리성을 둘러싸고 온 지구는 벌집을 쑤셔놓은 듯 하다. 인터넷에서는 어떤 논의들이 진행되는지 찾아봤다. 생물윤리센터 이외에도 유전학과 윤리학 홈 ...
우주탐사의 심장부 고다드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704
은박에 싸인 채 허블망원경 동체를 본딴 에뮬레이터 옆에 놓여 있었다. “저 두가지는
인간
이 만들어낸 가장 정교한 기계”라고 말하는 박사의 말에서 첨탑같은 긍지가 느껴졌다.NASA 고다드에서는 70년대에 ‘실현 불가능’ 판정을 받았던 월면 자외선천문대 ‘류트’를 계획하고 있었다. SF가 ... ...
1. 1993년부터
인간
복제 시작됐다
과학동아
l
199704
등장한 복제
인간
의 출현을 앞둔 시점에서 과학의 발전과
인간
의 존엄성 앞에서 고민하는
인간
의 양면성이 어떻게 전개될지 쉽게 점치기 어렵다.핵치환법복제 동물을 생산하는데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핵치환(nuclear transfer또는 nuclear transplantation)이다. 이 과정의 대부분은 현미경에서 ... ...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704
주제로 구성된다.1층의 중앙에는 3층까지 뻗어있는 금속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자연과
인간
과 과학의 조화’를 뜻하는 상징물이다. 이곳에서 위로 올려다 본 전시관의 맛이 색다르다. 벽 곳곳에 라이트형제가 만든 비행기, 우주왕복선 콜롬비아호를 비롯한 멋진 전시품들이 걸려 있다.강물의 ... ...
인류 최고의 에너지 자원
과학동아
l
199704
때문이다. 대부분 육상에서 살았던 공룡들은 죽은 후 바로 분해되는 바람에 석유로 남아
인간
과 인연을 맺는데 실패했다. 4.어디에 묻혀 있을까-지하 저장탱크는 작은 공극지하 깊은 곳의 커다란 동굴이나 웅덩이에 석유가 저장돼 있다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곳에 우물을 파거나 ... ...
NASA를 끌어가는 핵심조직들
과학동아
l
199704
것이다.존슨우주센터(JSC)1961년 설립, 존슨대통령의 고향인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다. 주로
인간
이 탑승하는 우주선과 관련된 일을 한다. 우주왕복선을 쥐휘하고 탑승할 우주 비행사를 훈련시키는 일, 생명의학 연구와 달에서 가져온 시료분석 등이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또 1997년 세워질 ... ...
서커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199703
움직이는 것을 눈으로 봐야하는 것이다. 그것도 흔들림이 너무 빨라지기 전에 말이다.4.
인간
의 유연성은 어디까지12살 난 몽골 출신 곡예사. 체벤도리와 치메드(사진)를 보고 있노라면 그들이 우리와 같은 사람이라는 사실이 믿어져지지 않는다. 그러나 생리적으로 그들과 우리는 모두 같은 범주에 ... ...
세계최대크기의 한외룡
과학동아
l
199703
3천5백만년 후에는 새로운 소행성이 찾아와 인류를 멸망시킬 수도 있다. 그때까지 우리
인간
은 어쩔 수 없이 자기의 체구를 빌딩 높이까지 계속 키우게 될 것이다.한국 공룡 누가 처음 발견했나과학동아는 96년 8월 특집 '되살아나는 공룡'에서 "72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경북대 양승영교수가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