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리탐방] 해법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간다! 서울 안천중 HUG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동아리 담당 선생님이 평소 풀리지 않았던 수학 문제나 수학 고민을 해결해 주는 행사를 진행했다. 참가비는 학생들의 무분별한 행사 불참을 방지하기 위한 작은 예방책이었다.담당 선생님 성함이 ‘백원희’ 선생님이세요. 그래서 선생님 이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참가비를 100원으로 정했어요. ... ...
- [수학뉴스] 수학을 잘해야 영어도 잘한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것이다.프로스트 교수는 히브리어를 처음 배우는 미국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24개의 도형을 8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언뜻 보기에는 잘 드러나지 않는 규칙대로 도형이 한 개씩 지나가는 동영상을 이 학생들에게 10분 동안 보여 주었다. 연구팀은 학생들이 동영상을 보고 도형의 ...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게임을 할수록 각 반딧불이들 사이의 간격은 점점 더 가까워진다. 이렇게 계속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결국 모든 반딧불이가 한 칸에 모이게 되는데, 이때가 바로 모든 반딧불이가 동기화되는 시점이다. 그리고 게임은 마지막으로 반딧불이를 동기화시키는 사람이 이기게 된다.그런데 이 게임은 ... ...
- [수학뉴스] 일곱살 때 수학 실력이 미래 연봉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능력, 16세 때 학습 동기, 42세 때 최종학력과 사회경제적 지위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그 결과 42세 때 사회경제적 지위와 7세 때 수학과 읽기 실력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세 때 수학 수준이 가장 낮았던 1단계 그룹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았고, 2~3단계인 그룹은 ...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구성되었다.조지 하트 교수는 조노돔을 이용해 창의적인 입체도형을 만드는 워크샵을 진행했다. 조노돔은 공 모양의 틀에 막대를 끼워서 4면체, 6면체, 8면체 등 다양한 입체 도형을 만드는 교구다. 독자기자들은 조지 하트 교수님의 지도에 따라 빨간 막대로 먼저 30면체를 만들고, 거기에 다시 파란 ... ...
- [7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둘의 차이점이 확실하게 나타난다. 그래서 밀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간단한 실험을 진행했다. 같은 부피의 콜라와 다이어트 콜라를 준비한 뒤 질량을 측정해서 둘의 밀도를 구했다.간단한 실험을 한 결과 나온 데이터는 과 같다.데이터를 보면 다이어트 콜라의 밀도가 일반 콜라의 밀도보다 ... ...
- Intro. 바다를 꿈꾼 거대 포유류, 고래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몸은 생명이 꽃피는 정원이 됐다.그 정원에서, 고래는 바다가 되는 꿈을 꿨다.-기획, 진행 윤신영 기자고래 과학자와 만나 보세요고래 카페과학동아 독자와 과학자의 만남, ‘과학동아 카페’가 세 번째 가게를 열었습니다.이번 주제는 고래입니다. 인류를 매혹시킨 재간둥이이자 독특한 진화를 거친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개미 역시 서로 재질이 다른 두 가지 표면의 경계에서 페르마의 원리에 따라 경로의 진행 방향을 바꾼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플로스원’에 발표했다. 먹이까지 가는 도중 바닥 재질이 바뀌어 걷는 속도가 달라지면 그에 따라 경로를 최적화한다는 뜻이다.연구팀은 상자에 마디개미와 먹이를 ... ...
- 녹색기술의 선두주자, 초임계유체공학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서울대 초임계유체연구실에서는 훼손된 규장각의 조선왕조실록을 복원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어떤 학생을 원하나요?초임계유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열역학과 반응공학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화학공학을 다루는 과에서 열역학, 유체역학, 분리공정, 공정설계, 열 및 ...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이해해야 했다. 보통은 입체도형의 겨냥도를 그려, 보이지 않는 면을 상상해 연구를 진행했다. 그러다 서서히 학문의 틀 안에 갇힌 기하학을 세상 밖으로 꺼내는 방법을 찾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 첫 번째 도구가 바로 종이다. 종이와 전개도만 있으면 대부분의 입체도형은 제작이 가능했다.1966년 ... ...
이전387388389390391392393394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