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다만 우리가 확실히 아는 건, 바이러스와 사람이 오래 공존할수록 치사율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숙주를 오래 살려 놓아야 바이러스 자신의 번식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과학동아 2013년 8월 ‘바이러스의 인간사육’ 기사 참조).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 에볼라도 감기처럼 ‘부드러운’ 질병으로 바뀔 ... ...
- 미국, 새로운 핵융합에 투자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높아 꿈의 에너지라고 불리고 있지만, 실현까지 아직 수십 년의 긴 시간이 남아 있다는 점이 흠이다. 프랑스와 한국, 일본, 미국 등이 참여한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 이터) 프로젝트를 통해 국제 공동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데, 미국 정부는 그동안 이 프로젝트에 드는 비용이 너무 크다는 이유로 그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동물 중 마지막에 묘사돼 있다. 특이한 것은 지구를 벗어난 곳에 하늘이 묘사돼 있다는 점이다. 달, 수성, 금성, 태양, 화성 등의 순서로 하늘의 영역이 나뉘어 있다. 아래는 ‘네이처’에 실린 새 9993종의 유전적 관계도. ▲ ‘네이처’에 실린 새 9993종의 유전적 관계도. ▲ 생명의 나뭇잎은행잎 ... ...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16강 진출에 아쉽게 실패했다.최근엔 어덜트 리그도 주목받고 있다. 인간형 크기라는 점에서 기술적 상징성이 있는 데다 최근 한국계 기술진의 활약도 두드러져 주목할 만 하다. 올해 어덜트 리그는 미국의 ‘팀 토르윈(THORWIn)’이 우승했는데, 이 팀이 시합에서 쓴 로봇은 지난해 미국 마이애미 ...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A의 상태에 따라 분기된 결과가 B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중첩돼 동시에 일어난다는 점이다. 벨 상태는 측정하지 않고 조건 분기하는 양자역학의 해법이다. 결국 슈뢰딩거 고양이의 중첩과 EPR 역설의 얽힘이 양자컴퓨터를 지탱하고 있다. ▲ 독일군 암호를 푸는데 사용된 튜링의 ‘봄브’(위).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IFA), 효소면역분석법(ELISA), 바이러스 분리배양 등이 있다. 여러 번 검사하다보면 점점 100%에 가까워진다. 이런 과정을 거쳐 ‘확진’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RT-PCR 장치밖에 쓸 수 없기 때문이다. 확진을 위해서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산 채로 다뤄야 한다. 안전이 확보된 ... ...
- 전기모터로 3초만에 시속 100km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순간이 될 수도 있다.도심에서 펼치는 ‘맑고 조용한’ 경주이번 대회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대회 장소다. 기존 경주대회가 전용 서킷(경기장)에서 열리는 것과 달리, 포뮬러 E는 도심의 ‘시가지 서킷’에서 열린다. 특색 있는 세계 각 도시의 풍광을 배경으로 질주가 펼쳐진다. 그간 포뮬러 1은 ...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학생과 전공 수가 너무 많아 연구와 교육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는 어렵다.이 점에서 지스트대학은 좀 더 자유롭다. 대학의 다음 교육과정으로 연구중심 대학원인 GIST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기초 학문과 사고력은 대학에서, 전공 공부와 연구는 대학원에서 맡은 것이다.GIST의 리버럴 ... ...
- “본성과 교육, 무엇이 더 강할까”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적절하게 계절에 맞는 옷을 추천해 주곤 했다. 10번이면 10번 모두 남자 아기면 줄무늬나 점으로 장식된 하늘색 옷을, 여자 아기라면 레이스와 꽃, 리본으로 장식된 분홍색 옷을 추천했다. 기자는 왠지 그 고정관념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베이지나 연두색 옷을 고르곤 했다.그 아기들이 자라면서도 ... ...
- [시사] 수학의 고수, 수학자를 꿈꾸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것’보다는 ‘즐기면서 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고 싶었거든요.”박 군은 수학의 어떤 점이 그렇게 좋은 걸까.“수학의 논리를 하나하나 쌓으면서 문제가 풀리는 과정을 경험할 때 정말 즐거워요. ‘수학을 잘한다’는 건 꼭 어려운 문제를 잘 푸는 것만이 아니에요. 기본적인 정의와 정리부터 ... ...
이전387388389390391392393394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