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피커시스템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골라서 사용하면 된다.이번에는 저음용 8인치 고음용 1½인치로 2웨이 식으로 만들어
보기
로 하자.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피커 유니트는 종류에 따라 가격 차이가 많으므로 가급적 오디오용으로 자석 밀도가 많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콘덴서2웨이식으로 만들기위해서는 콘덴서가 필요하다 ... ...
전자사서함 어느 하루의 온라인 한시간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여기에는 수백가지 게시문이 붙어있다. 이걸 한꺼번에 모두 볼수 없기 때문에 하나씩
보기
로 했다. 하나는 미국 일리노이주 출신의 상원의원이다. 이름이 '주디 켈러'인걸로 보아 여성인것 같다. 게시내용은 "일리노이주에서 가장 적합한 상원의원의 후보자는 주디 켈러이다."라는 선거벽보가 ... ...
남자도 아기를 낳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소망하는 남성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도대체 무엇일까?전문가들의 이야기를 종합해
보기
로 한다.의사는 우선 체외수정을 한다. 외과수술에 의해 부인의 난소에서 난자를 추출하여, 배양기 속에서 남편의 정자와 수정을 시킨다. 30~50시간 후면 수정란은 2~8세포 단계에 이른다. 크기는 바늘 끝 ... ...
어떻게 대응하나? 마이크로 전자기술의 파고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국내의 고용에 커다란 타격을 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기
로 하자. ME 기술의 대량적이고도 전면적인 발전은 생산비에서 차지하는 노동비용(임금)의 비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저임금의 비교 우위를 소멸시킨다. 그리하여 노동집약적인 산업에 대해 선진국도 자동화를 ... ...
간질환에서 해방되자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A형간염을 앓고난 후 나타나는 항체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15세 이상에서는
보기
힘든 병으로 인정되었다. 이 병은 한번 앓고 나면 영구면역이 생겨서 다시는 앓지 않는 질환이며 만성간염이나 간경변증 또는 간암으로 진행될 위험이 전혀 없는 간염이다. 예를 들어 1백명이 걸렸다 하면 9 ... ...
진화론의 진화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책에서는 고생물학, 발생학, 비교해부학과 생물지리학으로 부터 끌어낸 수많은 구체적
보기
를 들어 잘 짜여진 이론으로 종의 형성을 상세히 설명해 놓았다.다윈의 체계있는 학설다윈은 먼저, 종이란 세대를 거듭하면서 변할 수 있는 개체군이라고 보고, 자연계에서 끊임없이 벌어지고 있는 ... ...
21세기는 레이저로 밝힌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레이저의 특성을 살펴
보기
위해 레이저광이 전등이나 태양광선과 어떻게 다른지 생각해
보기
로 하자. 흔히 비가 개인 뒤 일곱가지 색으로 아름답게 펼쳐지는 무지개를 본 일이 있을 것이다. 무지개는 태양광선이 수증기 등에 의해 굴절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우리는 여기서 태양광선이 ... ...
푸른색 바다가재 3천만 마리 중 한마리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바다가재(lobster)는 서양에서 파란색의 달을
보기
보다도 어렵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희귀하다. 따라서 값도 엄청나게 비싸다. 그런데 묘하게도 파란색 바다가재는 빨리 자란다.보통의 가재가 1파운드 무게쯤되려면 5년에서 7년은 걸리는데 파란색가재는 1년이나 1년반정도밖에 걸리지않는다.이렇게 ... ...
서울의 대기오염을 살핀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이처럼 일반인들이 알기 어려운 농도로 대기오염도를 표시하면 대기의 상태를 쉽게 알아
보기
가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고안한 것이 대기오염 지수이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PSI지수이다.이 지수는 부유분진 아황산개스 질소산화물 오존 일산화탄소 부유분진×아황산개스 등 6개의 오염도가 ... ...
한반도에는 어떤 동물들이 살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은 많은 고을의 토산물이었으나 남획과 서식환경의 악화로 지금은 이것을 찾아
보기
어렵게 되었다. 1945년경에만 해도 동해의 독도(獨島)에는 바다사자가 있었는데 그 뒤에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서해나 남해의 진흙길의 조간대에서 흔히 볼 수 있던 농게는 간석지의 간척으로 말미암아 서식처를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