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전문가들은 이런 우려는 쓸데없는 걱정이라고 일축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부하령
박사
는 “백신에 면역증강제를 첨가할 경우 일시적으로 근육통이나 발열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지만 안전성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강석연 과장도 “신종플루의 면역증강제로 쓰인 스쿠알렌은 계절 독감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돌핀은 일종의 범퍼로 콘크리트로 만들어 바닷속 암반에 고정시킨 구조물이다. 조성민
박사
는 “10만t급 대형화물선이 속도 10노트로 충돌하더라도 교각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고 말했다.최근에는 장대교량이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잡으면서 경관 설계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요소가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그러나 20~40초 정도가 지나자 신경세포는 다시 정상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기슬러
박사
는 “가려운 부분을 긁고 나서 잠시 후 또 가려운 이유는 신경세포가 활동을 멈추는 시간이 20~40초로 짧기 때문” 이라며 “몸을 긁고 난 뒤 신경세포가 활동을 재개하면서 다시 가려움을 느끼게 된다”고 ... ...
파동에서만 보이는 현상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장규인·gyu-inj@hanmail.net 고려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에서 물리학으로
박사
과정을 밟고 있으며 파인만학원에서 심층연구센터 부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자연을 보고 느끼고 관찰하는 능력을 키우고 자유로운 사고와 폭넓은 독서를 통해 창의력을 키우는 것이 과학의 중요한 덕목이라고 ... ...
노벨상 특집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인정받아 1994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습니다. 최근에는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은 에릭 매스킨과로저마이어슨이 2007년 노벨 경제학상을 함께 받았습니다. 이들은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개인,기업, 국가 간의 갈등을 서로 화해시키는 체계를 만드는 데 공헌했습니다.1969년 노벨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이세형 연구원은 단국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정보통신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입사했고, 현재 광전자회로의 고성능, 저전력, 소형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의 탐구심은 빛보다 더 큰 잠재력을 가진다고 생각한다.▼관련기사를 계속 ... ...
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받은 연구 역시 배경은 자못 심각하다. 스위스 베른대 법의학연구소 스테판 볼리거
박사
팀은 사람들이 싸울 때 맥주병을 휘두르는 경우가 많다는 데서 과연 맥주병으로 머리를 내리쳤을 때 병이 깨지는지 두개골이 깨지는지 알아봤다. 연구 결과 내용물이 다 들어 있을 경우 30J의 충격에너지를, 빈 ... ...
명품 바이올린의 비결은 ‘균’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소리는 2위에 그쳤다. 3위는 6개월간 균 처리한 바이올린이 차지했다.슈바르체
박사
는 “균이 번식한 나무는 밀도가 15% 정도 줄지만 소리가 전달되는 속도는 그대로”라며 “이런 나무로 만든 바이올린은 소리가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높은 음을 연주해도 귀에 거슬리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 ...
금 만드는 미생물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바이오막을 형성한 뒤 주변의 금 이온을 환원시켜 금 입자를 성장시키기도 한다.라이스
박사
는“미생물이 각종 금속 이온을 환원시켜 금속이나 광물을 만든다는 사실이속속 밝혀지고 있다”며 “특히 중금속 이온은 독성이 있기 때문에 생존을 위해 무해한금속으로 바꾸는 메커니즘이 진화됐을 ... ...
보통 사람에 우주의 꿈 씨앗 뿌린 국제우주대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꿈꾼다”며 “어떻게 도와줘야 하느냐”는 한 학부모의 물음에 이 같이 답한 이소연
박사
는 “나도 어릴 때 꿈이 아주 여러 번 바뀌었다”며 “아이들의 상상력을 일단 두고 보는 게 가장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모의 진짜 용기는 넘어진 아이를 일으켜 세우는 것보다 자신의 힘으로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