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19세기 말이 돼서야 그 존재를 인지하고, 20세기 초에 구체적으로 정의합니다. 1892년 동유럽 크림반도에서 여러해살이풀인 담배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죽어갔고, 러시아의 미생물학자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가 그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연구했습니다. 처음에는 이 전염병을 퍼뜨리는 세균이 있을 ... ...
- [기획] 수의 성질이 곧 트릭! 숫자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9구나!’라고 대답하는 재치가 필요해요! 손가락 위치 예언하기! 이 마술은 2020년 4월 최현우 마술사가 유튜브 채널에서 ‘마음을 읽는 마술’이라고 소개해 화제가 됐어요. 마술을 진행하는 도중 원하는 칸만큼 움직이거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움직이니까 손가락의 최종 위치가 제각각일 것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부산행’은 ‘K좀비’를 제대로 보여줬다고 평가받았었죠. 이번에는 ‘K좀비’가 2020년형으로 업그레이드돼 돌아왔습니다. 그래도 과학동아의 예리한 분석은 피해갈 수 없습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를 감염시키는 전지전능한 좀비 바이러스는 존재할 수 있을까요? 좀비 바이러스는 ... ...
- [때문에 과학] 2탄. 큰 귀 코끼리, 짙은 피부 북극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여름이 찾아왔다. 7월 8일 세계기상기구(WMO)는 전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약 1도 올랐고, 향후 5년 내로 0.5도 더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갈수록 심해지는 무더위에 실내에서 선풍기나 에어컨 바람을 쐴 수 없는 동물들은 어떻게 견딜까. 체온을 낮추는 가장 좋은 방법, ... ...
- 숫자로 보는 2020학년도 1학기 사이언스 보드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우주 과학을 좋아하는 멤버들이 아쉬움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다사다난했던 2020학년도 1학기 사이언스 보드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또 2학기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지 숫자로 정리해 볼까요. ●1학기에 무엇을 했을까? 사이언스 보드는 3월 2일 홈페이지를 오픈하면서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습니다. ... ...
- [인포그래픽] 화성,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통계화성 탐사 시도는 미국과 러시아(옛 소련)가 각각 21회와 20회로 단연 앞선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일본과 유럽, 인도, 중국 등이 화성 탐사 경쟁에 새롭게 뛰어들고 있다 ... ...
- UAE┃INTERVIEW 옴란 샤라프 EMM 총괄 디렉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옴란 샤라프는 무함마드 빈 라시드 우주센터(MBRSC) 에서 화성 궤도선 ‘아말’을 쏘아 올리는 ‘에미리트 화성 탐사(EMM)’ 프로젝트를 총괄하며 아말의 개발과 발 ... UAE는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큼 향후 우주 탐사에서 한국의 청소년들과 협력해나갈 미래를 기대한다 ... ...
- USA┃INTERVIEW “셜록 홈즈처럼 화성 미스터리 풀겠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여러분도 스트레스가 쌓인다면 운동을 추천한다. 미래 화성 탐사를 꿈꾸는 한국 청소년에게 하고 싶은 말은?한국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심으로 우주 탐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다. 한국뿐만 아니라 아랍에미리트(UAE)는 NASA와 함께 올해 화성에 인공위성을 쏘아 올린다 ...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뒤 49%, 2년 뒤 58%, 3년 뒤 94%에 이르렀지만, ADHD 환자는 각각 17%, 43%, 61%에 불과했다. 김붕년 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 소아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치료를 위한 게임은 중독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지루한 쪽에 가깝다”며 “중독을 유발하는 보상체계가 거의 없고 단순한 자극으로 주의력을 . ...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자문을 구했다. 사고조사는 발사체 개발 경험이 많은 해외에서도 어려운 주제였다. 1950년대부터 일본의 발사체 개발을 이끈 고다이 도미후미(五代富文) 박사는 ‘개발 초기 많은 실패가 있었는데, 어떻게 사고조사를 했는가’라는 질문에 “초기에는 사고가 일어나도 사고조사를 할 수 없었다”며 ... ...
이전387388389390391392393394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