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스페셜
"
지역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
2016.05.23
환경이 어긋날 경우 더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미국 북부나 캐나다 같은 북미 고위도
지역
에 사는 흑인의 경우 백인에 비해 조현병 위험성이 서너 배 더 높은데 이는 체내 비타민D 수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비타민D는 뼈뿐 아니라 뇌발달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데 흑인이 햇빛이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벌어진 것일까. 발굴 과정에서 나무와 돌로 만든 다리의 흔적이 나왔는데, 아마도 이
지역
이 교통의 요지였던 것 같다. 즉 두 부족이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전투를 준비했고 이 과정에서 유럽 각지의 용병을 고용했을지도 모른다는 시나리오다. 톨렌제 계곡 유적은 오늘날 사람들이 생각하는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Y염색체를 지닌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논문은 약 4만9000년 전 스페인
지역
에서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남성의 Y염색체 게놈을 해독한 결과 현생인류와 약 59만 년 전 갈라졌고 그 뒤 교류가 없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2010년 처음 핵 게놈이 해독된 뒤 지금까지 다섯 명의 네안데르탈인 게놈이 ... ...
소극적인 사람이 전염병에도 덜 걸린다?
2016.03.22
관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여성들의 경우 전염병이 많이 유행한
지역
에서 성적개방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염병이 유행하는 곳에서는 성적 개방성도 낮은 것이 병을 옮기거나 옮지 않는 데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일까. 물론 단순히 전염병과 성격 사이에 ‘상관’이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증거가 가장 오래됐다. 따라서 일찌감치 아프리카를 떠난 현생인류가 새로 도착한
지역
에 살고 있던 다른 인류와 혼혈됐을 가능성이 여전히 있다. 앞으로 고게놈학에 기반한 또 어떤 놀라운 연구결과가 나올지 기대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아시아 첨단축산기술 허브를 꿈꾼다
2016.02.26
나오는 분뇨만으로 부족해 외부에서 일정부분을 공급받아야 한다”며 “이 부분에 대해
지역
주민들과 합의되고 일정부분의 예산만 확보된다면 언제라도 바이오가스플랜트를 중심으로 하는 선순환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한국에서 근대적 축산을 시작한 것은 광복 이후이며 ... ...
세계 최초 양산형 수소연료전지차 투싼ix 개발의 요람
2016.02.24
450여 대를 수출했다. 김 팀장은 “타 업체가 주로 수소충전소가 구축돼 있는
지역
에만 판매하는 전략을 펼쳤던 것과 달리 우리는 1대라도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 보내겠다는 마인드로 접근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차량 1대를 보내더라도 그에 수반하는 애프터서비스 인력과 부품 등을 함께 ... ...
한국은 글로벌 연료전지 테스트베드
동아사이언스
l
2016.02.24
규모라 고 한다. 2017년 초 발전소가 완공되면 연간 25만MWh의 전력을 부산 해운대구 좌동
지역
주민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LG는 영국 롤스로이스 자회사인 롤스로이스퓨얼셀시스템즈을 인수한 뒤 LG퓨얼셀시스템즈로 사명을 바꾸고 국내에 LG퓨얼셀시스템즈코리아란 자회사를 두고 있다.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지카바이러스가 확인된
지역
이고 옅은 빨간색은 사람의 혈청에서 항체가 검출된
지역
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안전지대다. - 뉴잉글랜드의학저널 제공 Q2. 언제 어디서 처음 발견했나?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첫 논문은 1952년 발표됐다. 저자들은 1947년 우간다 숲에 사는 붉은털원숭이의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훈련하는 임무도 맡았다. 처음으로 소형 상용 원전을 해외에 수출했다는 의미를 넘어서
지역
난방, 해수담수화, 산업용 열 제공 등 다양한 분야로 원자력 활용 범위를 넓힐 기회를 얻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우리나라의 기술력 널리 알린 연구 성과들 연구성과 중 첫째는 '스마트 인공피부 개발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