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442건 검색되었습니다.
늘어났다 줄어들며 전기 만드는 ‘스타킹 전자소재’
2015.04.15
전기적인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이 교수는 “전자피부를 비롯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를 만들기 위해서는 불규칙한 표면에 잘 달라붙게 휘어져야 할 뿐 아니라 인체 움직임에 따라 늘어났다 줄어드는 탄성도 갖춰야 한다”면서 “전기까지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 ...
미래형 배터리 전기흐름 원리 찾았다
2015.04.15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배터리나 전기를 소모하는 담수화
장치
등의 전기적 효율을 크게 향상 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는 물리학 저널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3월 1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서울대 ... ...
AIDS 환자 위협하는 ‘작은와포자충’ 10분만에 찾아낸다
2015.04.15
싸고 조작법이 단순해 특별한 교육 없이 10분 만에 검사가 가능하다. 첸 교수는 “이
장치
는 휴대가 간편하고 검사도 빨라 AIDS 바이러스 감염자들이 관련 질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며 “앞으로 작은와포자충 이외에 다른 기생충이나 질병까지 검사할 수 있도록 연구를 ... ...
발전소 전기 모았다가 24시간 활용
2015.04.13
급 신재생에너지 전력변환
장치
시험설비’를 구축했으며 신재생에너지 전력변환
장치
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CBTL) 자격 역시 보유하고 있다. 학계에선 ESS 기술을 확보하면 버려지는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자유롭게 쓸 수 있어 원전 건설에 맞먹는 전력공급 효과와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얻을 ... ...
친환경 미래車 에너지효율 올릴 원천기술 찾았다
2015.04.13
“수소연료전지는 물론 천연가스 등 다양한 연료를 활용하는 각종 연료전지 및 에너지
장치
의 효율을 높이는 데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쌀 한 톨만한 컴퓨터 개발… 세포이식 가능한 ‘스마트더스트’ 나온다
2015.04.12
또 각종 전자기기에 부착해도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연구나 산업분야에선 압력감지
장치
, 기후 및 환경감시, 에너지관리 교통량 감지, 동물 위치 추적 등에 응용할 수 있다. 일상 생활도 큰 폭으로 향상돼 사물인터넷 개발이 대폭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된다. 조명, 스마트 자동차 등에 쓸 수 ... ...
조조가 동탁 암살에 실패한 이유는 ‘입사각’과 ‘반사각’
2015.04.12
‘마음의 미래’다. 그는 물리학자답게 자기공명영상(MRI)
장치
와 양전자단층촬영(PET)
장치
등 물리학이 바꿔 놓은 뇌과학 혁명에서 시작해 광섬유로 뇌 신경세포를 자극해서 기억을 치환하는 광유전학까지 뇌과학의 미래를 조망한다. 또 과거에는 공상과학(SF)의 소재로만 여겨졌던 텔레파시와 ... ...
테디베어와 뽀로로의 공통점은?
2015.04.12
설명했다. 2005년 스티븐 하만 미국 에모리대 교수는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
를 통해 사람의 뇌를 관찰한 결과 실제로 새끼 동물을 볼 때와 사람의 아기를 볼 때와 같은 신경 보상 회로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알아내기도 했다. 테디베어의 동그란 눈, 동그란 코가 가장 빛을 발한 곳은 ... ...
[SW가 미래다 2] 로봇 공학도, 월가도 소프트웨어가 이끈다
2015.04.10
개발해 인공위성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스파이위성을 감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추적
장치
의 핵심도 기계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다. 오 교수는 “소프트웨어는 과학기술 어느 분야에나 활용할 수 있다”면서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경험이 많아질수록 이해도가 깊어져 더욱 다양하게 응용할 수 ... ...
포장 뜯지 않고 김치 숙성상태 판별… 농부대신 김매는 ‘제초로봇’도 개발
동아일보
l
2015.04.09
색이 달라진다. 포장을 뜯지 않고도 제품 품질을 판단하게 해주는 것이다. 스마트 표시
장치
는 ‘지능형 포장기술’의 대표적 사례로 이승주 동국대 교수(식품생명공학과)가 이끄는 지능형포장연구센터에서 개발했다. 지능형 포장은 정보기술(IT)과 생명공학기술(BT), 나노기술(NT) 등 첨단기술이 합친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