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생, 온라인 개학 만족도 가장 높아"
연합뉴스
l
2020.06.12
수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가 크게 높지 않았던 온라인 개학에 대한
반응
에도, '추후 온라인 개학이 필요한 상황이라면?'이라는 질문에는 78%의 학생이 '온라인 개학에 찬성한다'고 대답했다. 온라인 개학에 가장 많이 활용된 플랫폼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e학습터'(34.8%)였고, ... ...
제넥신, 코로나19 DNA백신 임상 1상·2a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6.11
DNA 백신은 먼저 핵산을 몸속에 넣어 항원을 만들게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항원이 면역
반응
을 유도한다. 이 방식은 게놈 정보를 알면 빨리 만들 수 있고 안전해 널리 연구되고 있다. 연구팀은 지난 3월 개발을 마치고 임상을 준비해왔다. 제넥신은 앞으로 3개월 이내에 임상 1상 단계를 완료한다는 ... ...
UNIST, 가시광선으로 '약물 뼈대' 합성하는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0.06.11
들뜬 상태가 된 이리듐 광촉매가 알카인이 아닌 알켄의 전자를 먼저 활성화해 고리첨가
반응
이 일어난다는 원리도 규명했다. 박 교수는 "개발한 합성법을 이용하면 다양한 작용기를 갖는 시클로부텐 골격체를 만들 수 있다"라면서 "신약과 각종 화학제품 개발, 약물 부작용 개선 등 연구에 활용할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가지는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생명 현상과 관련된 물질이나 물질들 사이의 여러 복잡한
반응
들도 결국은 모두 화학으로 환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유기물과 무기물을 엄밀하게 나누기는 쉽지 않다. 탄소가 들어가 있으면 기계적으로 유기물이라고는 하지만, 위의 유기물에 ... ...
日바이오업체 "2시간에 5천건 PCR 검사법 개발"…주가 급등
연합뉴스
l
2020.06.10
맡았다. 다카라바이오는 새 검사기법이 적용된 장치를 활용하면 코로나바이러스에
반응
하는 최적의 시약을 조합해 한 차례에 최대 5천184건을 검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스위스 제약업체 로슈의 장치로는 한 번에 최대 4천128건을 검사할 수 있지만 24시간 ... ...
"어린이 다기관염증증후군 평년 수준"…코로나19 영향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대상으로 사례 정의 기준을 제시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코로나19 양성
반응
을 포함해 38도 이상의 지속적인 발열 증세를 보이거나 혈액검사에서 염증이 나타나는 경우 보건당국에 보고해달라고 요청했다. 심장과 폐 등 2개 이상의 장기에 이상 징후가 보일 경우도 마찬가지다. 영국 ... ...
"여드름 발생 메커니즘 찾았다…여드름 예방·치료법 개발 기대"
연합뉴스
l
2020.06.09
지방분해효소를 분비해 피지 속 지질을 분해하고 이때 생기는 자유 지방산이 염증
반응
을 가속한다고 알려져 있다. 여드름 환자의 피지낭에는 이 박테리아의 여러 하위유형 중 1A형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큐티박테리움 애크니스의 하위유형 중 하나인 2형 큐티박테리움 ... ...
인공 지능이 그린 사람 얼굴
팝뉴스
l
2020.06.08
잘 살아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인공 지능이 상상력을 발휘한 것 같아서 놀랍다는
반응
도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나온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프리미엄 리포트]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
2020.06.06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앉아있는 시간이 많다. 특히 이론물리학자나 수학자의 경우 대체로 몸보다는 뇌를 더 많이 움직인다. 이론물리학자인 필 ... └[인포그래픽] 유전자로 보는 지방세포의 운명 Part3. 살이 빠지는 화학
반응
이 있을까? Part4.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 ...
코로나19 종식 열쇠 '집단면역' 갈 길 멀다...스페인 "면역인구 아직까지 5.2%"
동아사이언스
l
2020.06.05
연구결과를 내놨다. 문제는 코로나19 면역에 대해 많이 알려진 것이 없다는 점이다. 면역
반응
이 얼마나 좋은지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 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면역 수준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질병의 확산을 통제하고 감염 위험에 처한 사람들의 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 스페인도 이런 이유에서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