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 사람의 두개골 쏘아 올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려면 먼저 그 양을 측정해야 한다. 그동안 우리는 우주선(船)의
표면
에 부딪치는 방사성 입자들의 양을 선량계(線量計)로 재 왔다. 그러나 우주선 안으로 뚫고 들어와 승무원들의 몸을 투과하는 입자들에 대해서는 눈을 감아 왔다.하지만 이제는 눈을 뜰 때다. 우주왕복선의 ... ...
남극의 얼음이 줄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NASA에서는 레이저측정기를 갖춘 위성을 통해 얼음의 부피와
표면
측정을 해 얼마만큼의 얼음이 줄어들고 있는지를 관측하고 있다.현재까지 조사된 바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의 상승이 남극의 얼음을 녹이는 가장 그럴듯한 이유. 과학자들은 1973년 이래 최고기온을 유지하는 ... ...
운석과 혜성으로 지구에 접근하기도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것은 소행성의 화학조성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소행성
표면
의 반사도가 서로 다르다는 것도 설명된다.화학조성에 따라 소행성의 유형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그 첫번째가 C형이다. C형은 주로 탄소 화합물로 이루어졌으며 소행성대에 분포하고 있는 소행성 중 약 ... ...
슈퍼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큰 가치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그러나 산업현장에서의 다이아몬드는 타 물체의 거친
표면
을 문질러서 매끈하게 만들 수 있는 견고성 때문에 우리가 아는 최고의 연마제로 인정받고 있다.(다이아몬드의 품질에 거의 근접하도록 우수한 다른 값싼 연마제들도 있지만 비슷한 품질일 뿐 똑같지는 ... ...
사라진 태양 중성미자는 어디에?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다른 물질과 반응하는 힘이 너무 약해서 별다른 제약없이 태양의 핵으로부터
표면
을 통과, 우주공간으로 방출된다. 과학자들은 이 입자들을 연구함으로써 태양내부의 작용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리라 기대했던 것이다.20년전 브룩스해븐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사우스 다고타주(州)의 금광 ... ...
첨단 기술과 예술의 접목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백76개의 픽셀로 구성된 것이 있으며, 이보다 더 섬세한 스크린 화면도 있다.현재 스크린
표면
에 나타나는 많은 픽셀들은 자신의 표현색상 외에도 7~22개 또는 그 이상의 색상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다양한 색상표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그리고 최근 컬러 팔레트라는 색상표가 등장하게 되면서 ... ...
오너드라이버를 위한 자동차의 과학③ 3ℓ로 1백㎞ 달리는 「구두쇠」자동차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비례한다.공기저항은 자동차가 달릴 때 자동차의 앞면에 부딪치는 압력과 자동차의
표면
을 공기가 스쳐지나 가면서 발생되는 마찰력, 자동차 뒤꽁무니에서 형성되는 와류(渦流)를 통틀어 일컫는다. 이 저항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고속주행시 주행저항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예컨대 보통 ... ...
북극성 맥동 점점 쇠약해져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층에서 생성된 에너지에 의해 가능해 진다. 케페우스변광성군(群)은 별이 팽창하면서
표면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맥동이 소멸한다고 알려져 있다. 즉 헬륨 층이 별의 심층부에 둘러싸이면 맥동성의 기능을 잃어버리는 것.북극성의 맥동은 처음 측정이 이루어진 1896년부터 1950년대까지 거의 일정하게 ... ...
「얌체새」 뻐꾸기의 번식법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삼투압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민물과 바닷물에서 생활할 수 있다. 몸
표면
의 점액을 닦아내면 그 밑에서 비늘이 나오지만 방수성(防水性)이 없어지기 때문에 몸 안으로 물이 들어온다. 그러면 뱀장어는 곧 죽어 버린다 ... ...
퀘이사라는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튕겨나오는 것이다. 회전하는 검은 구멍에서 이런 일은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 두개의
표면
이 생긴 뒤 한쪽만 일방통행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잘만 활용하면 검은 구멍 질량의 29%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입되는 물질의 속도가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