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캘리포니아대(데이비스) 피터 리처슨 교수와 캘리포니아대(LA) 로버트 보이드 교수는
지난
2005년 펴낸 책 ‘유전자만이 아니다’에서 “문화는 진화의 경로를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출산율의 붕괴와 같은 놀라운 부적응이 발생했다”고 쓰고 있다 ... ...
KTX와 중국 허셰, 누가 더 좋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빠르다. 중국 정부는 이날 “중국 고속철도가 세계 최고”라고 자랑했다.개통 후 한 달이
지난
지금, 중국 고속철도에 대한 평가는 좋지 않다. 수차례 일어난 운행정지 사고 때문이다. 결국 중국 정부는 운행속도를 시속 350km에서 300km로 낮췄다. 전문가는 ‘최고속’이란 말을 쓰기 위해 억지로 ... ...
각기 다른 ‘헤어스타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어느 종류인지는 대충 알 수 있지만 아직은 확실한 분류의 열쇠를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
호에서 가장 특징적이며 눈으로 쉽게 확인되는 다리의 개수나 형태로 목(目) 수준의 단계까지 정확하게 분류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이번 호는 외형적 특징으로 애벌레를 과(科) 수준까지 분류하는 방법을 ... ...
기술혁신으로 녹색 성장을 이뤄내자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루며 상생하는 방법은 없을까? 녹색 성장을 향한 기술 혁신이 바로 그 해답이다.
지난
해 서울에서 열린 G20 비즈니스 정상회의의 핵심 의제는 녹색 성장이었다. 친환경 기술과 대체 에너지로 성장을 이루는 녹색 산업에 쏠린 세계적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 녹색 성장은 녹색 화학이 뒷받침돼야 ... ...
Intro. 녹색 황금 캐는 미세조류 농장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908년 이란에서 대형 유전이 발견되면서 시작된 중동 석유 시대는
지난
100여 년 동안 인류에게 전례 없이 풍족한 삶을 선사했다. 그러나 언제까지나 펑펑 쓸 줄 알았던 ‘검은 황금’ 석유가 바닥을 드러내면서 유가 100달러 시대를 담담히 받아들이고 있다. 어차피 석유는 온실가스 배출과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진행하고 있다.미세조류 바이오연료의 미래가 장밋빛만인 건 아니다. 양 단장은 “
지난
10여 년 사이 미국에서 많은 바이오벤처들이 미세조류 바이오연료 사업에 뛰어들었지만 섣불리 규모를 키워 적자에 허덕이다 문을 닫은 곳도 있다”며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차근차근 기술을 ... ...
죽은 세포 되살리는 기적의 주사?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지난
달 국내에서 세계 첫 줄기세포치료제가 탄생했다.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바이오기업 ‘에프씨비파미셀(FCB파미셀)’이 개발한 ‘하티셀그램-AMI(이하 하티셀그램)’을 허가했다. 이 약은 죽은 심장세포를 재생시키는 방식으로 심장질환을 치료한다. 하티셀그램은 차세대 ...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간혹 정체될 수가 있는데, 그럴 때는 수일 씩 오래 지속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 11일 충남 서천군 일대 농경지와 축사가 물에 잠겼다. 한 주민이 물에 잠긴 축사를 안타깝게 바라보고 있다.] 제트기류의 새로운 발견하층제트 이론을 사용하면 집중호우가 유독 새벽에 많이 일어나는 ... ...
“돼지각막 2, 3년 뒤 영장류에 이식”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두고 소망이를 볼 수 있었다. 병균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돼지를 길러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
해 태어난 믿음이는 노란 특수복을 입은 연구원이 밥을 주러 들어오자 반갑다고 발에 입을 부비며 떠나질 않았다. 황 연구사는 “소망이는 3월 14일에 태어나 조금 있으면 100일이 된다”며 “제왕절개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노란색 구조물)이 1km 앞바다에 있다.] “보안시설이라 안에는 들어갈 수 없습니다.”
지난
7월 6일, 강원도 강릉에서 다시 동해고속도로를 타고 20분을 달려 찾아간 강릉시 옥계면 해수리튬연구센터 건설 현장. 현장에서 만난 류태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선임연구원의 말에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