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갯가재의 강력 펀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곤봉처럼 생긴 다리를 초속 23m로 뻗어 조개나
전
복의 껍데기를 부순다. 탈피
전
까지 이런 ‘권투’를 5만 번 이상 하지만, 별다른 손상을 입지 않는 이유가 밝혀졌다. 데이비드 키사일러스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리버사이드) 화학및환경공학과 교수팀은 갯가재의 앞다리에 강도와 ... ...
[과학뉴스] 우세안 없으면 난독증 생긴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전
세계에서 7억 명이 알파벳 ‘b’와 ‘d’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인구 10명 중 1명꼴이다.우세안(주로 사용하는 눈)이 없어 거울처럼 반
전
된 이미지 2개가 뇌에 모두
전
달돼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프랑스 렌대 연구진이 이런 난독증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원인을 밝혀냈다.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며 “산호의 생존력이 늘어나지 않는다면, 해양 생태계
전
체가 무너질 만큼 해양 생물의 다양성이 줄어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 ...
[Future] 저항 유
전
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잊을 만하면 찾아오는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지난해 11월
전
북 고창을 시작으로 올해 1월 12일 기준 고병원성 AI 14건이 발생했다. 닭과 ... 갖는 유
전
자는 찾지 못했다. 변 농업연구사는 “장기적으로는 AI 등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 유
전
자를 집중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그 이유를 밝혔습니다. 한 실험에서는 염색체 분리가 일어나기
전
의 쥐 난모세포를 반으로 잘라 세포질의 양을 반으로 줄였습니다. 그 결과 세포의 염색체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으면 세포주기 확인점이 제대로 작동했습니다. doi :10.1371/journal.pone.0027143 또 다른 실험에서는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암호 해독을 잘하려면 셜록 홈즈도 울고 갈 추리력과 탁월한 직관력이 있어야 합니다. 수학적 사고는 필수고요. 여러분은 어떤가요? 자신의 숨은 능력이 궁금하다면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Part 2. 화이트해커가 필요해![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
전
하세요! 화이트해커 ... ...
[별난이름정리] 공짜 점심은 없다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정리에 재미있는 이름이 붙게 된 유래와 함께 수학적 의미를 살펴봅니다. 기사를 읽기
전
에 어떤 수학 정리인지 추측해 보면 더 재밌을 거예요! 식당에 들어서자 밖에서 보던 것보다 훨씬 더 맛있어 보이는 음식들이 즐비해 있습니다. 바다냄새 물씬 나는 새우가 후각을 자극하더니 너무 커서 그릇을 ... ...
[2017 메리 크리스MATH 파티] 지적인 크리스마스 파티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멘토링 시간이 있었기 때문이지요. 먼저 행사
전
에 수학동아 블로그를 통해 미리 받은 사
전
질문에 수학자들이 대답해 주었습니다. 수학 공부를 잘하는 방법을 묻는 질문부터 파티에 참석하지 못한 동생을 위한 질문까지 다양한 궁금증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이우형 군은 숫자 0이 자연수인지 ... ...
Part 4. 빙하를 보존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연구를 이끌고 있는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제롬 샤펠라즈 연구원은 “우리의 목표는
전
세계 모든 빙하에서 수백 개 이상의 빙하 코어를 추출해 미래의 과학자들에게 물려주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더 많은 나라들이 동참하기를 바란다”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과학뉴스] 공룡 피 빨아먹는 진드기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발견했어요. 모기 대신 진드기였다는 점만 달랐지요. 연구팀은 미얀마에서 약 9900만 년
전
백악기 시대의 호박 화석을 발견했어요. 이 화석을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분석한 결과, 공룡 깃털과 여러 마리의 진드기를 발견했지요. 화석에는 공룡의 깃털을 잡고 있는 진드기와 몸통에 피가 가득 찬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