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것이 또다른 기술혁명을 위한 태동일 수도 있다고 믿고 있다. 왜냐하면 인류
역사
를 돌이켜볼 때, 그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생각들이 한계를 돌파해 왔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아직 반도체기술의 미개척 영역은 많이 남아 있다. 특히 광소자 양자소자 분자소자 마이크로머시닝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때늦은 감이 있으나 무척 다행한 일이다.해양과학박물관이나 해양수족과학관은 기존의
역사
, 유물박물관이나 단순히 관광목적의 동식물전시가 목적인 수족관과는 설립취지부터 다르다.해양과학박물관이나 해양수족과학관은 해양환경의 보호와 해양자원의 합리적 이용이 라는 목적에 따라 독특한 ... ...
선거와 언론보도 어떤 관계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교수의 주장.매스컴에 관련된 예민한 주제의 하나인 '매스미디어와 투표행동연구'는
역사
적으로 두개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왔다. 초기(40년대)에는 미국의 대통령선거를 분석한 결과 영향이 미미하다는 '한정효과론'이 우세했으나 70년대 들어서 영향력이 막강하다는 '침묵의 나선이론'이 우위를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알려진 황하는 황토가 어느 정도 쌓인 후에 하천으로 개석(開析)됐기 때문에 중국의
역사
는 끊임없이 바람에 의해 황진이 쌓이고, 그것을 다시 황하가 침식하는 대자연의 되풀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속에서 인류문화의 가장 오래된 모습이 태어나 오늘에 이르렀다 할 것이다.광막한 밀밭, 혈거를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15년간의 인체게놈연구(Human Genome Project)계획을 수립하고 착수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인류
역사
상 가장 큰 연구과제다. 이 과제는 최다연구인력 최장연구기간 최대연구투자 최다참여국가 최대국제협력연구사업 최다전문연구분야의 참여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제 20세기의 마지막 시점에 서서 인류는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방이 세개 있는 심장이 있어 많은 작은 크기의 포유동물보다도 오래 살 수 있다.양서류의
역사
와 우주 속의 올챙이의 경이로움을 살펴 보는 동안 필자는 시간이 흐르는 모래속에 발자국을 남긴 이첩기시절의 양서류를 생각하게 된다. 이 모래는 애리조나주의 사암이 됐는데 이 바위를 연구한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누비는 지금에 와서
역사
적 유물에 불과한 비행선에 관심을 갖는 것일까. 먼저 비행선의
역사
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1783년 프랑스의 제지업자인 몽골피에 형제는 종이로 열기구를 만들어 사람을 태우고 5백m 상공에까지 떠오르는데 성공했다. 화톳불을 피우고 뜨거운 연기를 만들어 기낭을 채웠기 ... ...
죽어서도 영원히 사는 미이라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살 때 편안하게 해주었던 모든 것을 포함한다.이집트의 미이라에 관한 지식은 그리스의
역사
가이며 여행가인 헤로도투스(B.C.450)와 B.C.60~57년 이집트를 여행했던 디오도루스 시큐루스의 기록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그들은 당시 가장 비싸게 먹히는 미이라의 제작비는 66파운드나 되고, 중간치는 2 ... ...
과학엘리트 12인의 삶과보람 「그래서 나는 실험실 불을 끌 수 없었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것이 아니다. 우리와 함께 호흡하며 느끼는 고뇌와 삶, 그리고 어린 시절의 에피소드는
역사
속의 위인들 전기보다 더욱 생동감있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그 속에는 어린시절의 방황하는 모습과 갈등의 시간들이 묘사되어 있어 더욱 좋다. 과학의 꿈을 가졌지만 입시경쟁에 지친 젊은이들에게 힘이 될 ... ...
지금부터 20년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인간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집트를 비롯한
역사
상 여러 문명들의 부침이 기후와 같은 환경요인에 의해 좌우되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듯이 그러한 기술 낙관론이 우리의 불안감을 덜어주지는 못한다.더구나 기술 낙관론은 환경문제의 해결방법을 왜곡시킬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